http://philmasterplus.blogspot.com/2007/05/gmail-drive-shell-extension-1011.html
by Anna 안나 2008. 10. 25. 01:16
일단 http://isnoop.net/gmail/ 싸이트에 접속한 후
초기 화면에서 Anti-bot Key 란에 화면에 보이는 숫자를 입력한 후
자신이 사용하는(초대권을 받을 메일)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잠시후 자신의 메일을 확인하여 위의 사이트에서 Gmail 관련 영문 메일 한통오게 되는데
내용중에 두개의 링크중, 위의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Gmail 등록을 위한 새창이 뜨게 됩니다.

여기서 본인이름과 새로만들 GMail ID(6자리이상)입력한 후
아래 체크버턴을 눌러 사용하는 유저가있는지 체크하여 확정한 후
밑으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 분실시를 대비한 질문과 답등
간단한 입력절차를 마치고 나면 완료가 됩니다.


GMail은 pop3/smtp을 지원하며 설치된
Outlook Express에 등록시키기 위해서 아래의 과정을 진행합니다.

아웃룩을 실행한 뒤
[도구] -> 계정 -> 우측위 추가 버턴 -> 메일을 클릭합니다.

표시이름: 본인이름
전자메일주소: GMail ID@gmail.com

받는메일서버유형: POP3
받는메일(POP3,IMAP 또는 HTTP) 서버(I): pop.gmail.com
보내는메일(SMTP) 서버(O): smtp.gmail.com

인터넷 메일 로그온
계정이름: GMail ID (GMail 아이디 입력하세요)
암호: GMail Password (GMail 비밀번호 입력하세요)
보안 암호인증(SPA))을 사용하여 로그온에는 체크하지 마세요

다음 버턴 -> 마침

인터넷 계정창의 메일탭 클릭 -> 방금만든 GMail ID@gmail.com에 마우슨 왼쪽버턴 1번 클릭한 후
우측에 속성클릭 -> 속성창의 서버탭 클릭 ->
맨아래 "인증 필요"에 체크한 후 -> 고급탭 클릭합니다

위에서 3번째에 있는 "보안 연결(SSL)필요"에 체크합니다.
위에서 5번째에 있는 "보안 연결(SSL)필요"에 체크합니다.
다시 위에서 2번째에 "보내는 메일(SMTP)" 옆에 있는 숫자 25을 465로 수정합니다.

맨 아래에 "배달" 밑의 "서버에 편지 복사본 저장"에 체크합니다(선택사양).


위의과정을 마친후

http://gmail.com 에 로그인한 후 초기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있는 "Settings"을 클릭합니다.

4번째 탭에 있는 "Forwarding and POP"을 클릭한 후
중간쯤에 있는 "Enable POP for all mail"에 체크하고
아래에 있는 "Save Changes"을 클릭합니다.

이로써 모든 설정은 완료되었으므로 실제로 모든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테스트 해보시면 됩니다.



다음은 1G 나 되는 적지않은 메일 용량을 "웹하드"로 사용하기위한 설정입니다.


http://www.viksoe.dk/code/gmail.htm 에 접속한 후 맨아래에 있는
"GMail Drive v1.0.5 - download site #1" 혹은 그 아래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합니다.


다운받은 gmailfs_105.zip 파일을 압축해제, Setup.exe을 실행하여 설치하면
"내 컴퓨터"에서 지금껏 없던
"GMail Drive"라는 드라이브를 볼수 있습니다.

해당 드라이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언제든지 로그인, 아웃을 할수 있으며
파일 전송은 끌어놓기등 일반적인 탐색기에서의 작업처럼 전송하심됩니다.

전송 파일 사이즈는 최대 10MB 로
전송후 언제 어디서든 Gmail 로 접속하여 업로드된 파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by Anna 안나 2008. 10. 25. 01:16
G-Mail은 구글에서 서비스 하는 메일로 국내엔 다음, 네이버, 야후 메일을 사용하시는 분이 많아 한국 사람들 중 대부분은 잘 모르고 계실 것입니다. 단순히 읽기, 쓰기용도라면 굳이 G-Mail을 사용하실 필요는 없겠지요. G-Mail은 2008년 6월 21일 확인 결과 저장 용량이 6848MB. 즉, 6.68GB까지 공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메일 용도로만 쓰면 너무 과한 용량이 아닐 수 없지요. (1GB만 되더라도, 보통 메일로 몇천, 몇만통은 가능하니까 말입니다.) 하지만 이 공간을 메일 용도가 아닌 HDD용도로. 즉 웹 하드로 사용할 수 있다면 거의 7GB에 육박하는 웹 하드공간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부담이 전혀 되지 않는 개인 무료 웹 하드가 생긴다는 말입니다. 그럼 쓸데 없이 많은 용량을 HDD로 사용하여 봅시다. 첫번째로 www.google.co.kr로 가셔서, G-Mail회원으로 등록 합니다. 예전에 비해 가입 절차는 상당히 간단해 졌으니 부담 없이 가입 하시리라 생각 합니다. 두번째로 http://www.viksoe.dk/code/gmail.htm 에서 Gmail Drive라는 프로그램을 다운 받습니다.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하니 조금만 찾아보시면 받으실 수 있을겁니다. 압축을 해제한 후 인스톨을 하면 모든 준비는 완료입니다. (참고로 인스톨 시 경로 지정이 되지 않습니다. 기본으로 C드라이브에 설치 됩니다.) 세번째로 '내 컴퓨터'에 들어가시면 아래에 드라이브 형식으로 GMail Drive라는 디스크가 생겼습니다. 더블클릭 하시면, 아이디&패스워드 입력창이 뜨며 G-Mail아이디&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주시면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네번째로 폴더처럼 파일을 드라이브에 드래그&드롭 하시면 자동으로 구글 웹 공간으로 전송 됩니다. 다만 용량이 상당히 큰 파일들은 업로드에 제한이 있습니다. (분할 압축해 주세요.) 이상으로 설치&사용법은 종료입니다. 구글의 G-Mail은 초기 2GB정도의 공간을 제공했습니다만, 갈수록 용량이 늘어가더군요. 이 방식으로 유용히 웹 하드로 사용해 주셨으면 합니다.
by Anna 안나 2008. 10. 25. 01:15
출처: http://sodumarvin.tistory.com/5 (1) test.php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stric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strict.dtd">
<html>
<head>
<title> javascript와 xml을 이용한 트리만들기 </title>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script language="javascript">
<!--
var XMLConst =
{
ELEMENT_NODE :1,
ATTRIBUTE_NODE :2,
TEXT_NODE :3,
CDATA_SECTION_NODE :4,
ENTITY_REFERENCE_NODE :5,
ENTITY_NODE :6,
PROCESSING_INSTRUCTION_NODE :7,
COMMENT_NODE :8,
DOCUMENT_NODE :9,
DOCUMENT_TYPE_NODE :10,
DOCUMENT_FRAGMENT_NODE :11,
NOTATION_NODE :12
}
var favoriteGen =
{
xmlDoc : null,
Tree : null, importXML : function()
{

if (document.implementation && document.implementation.createDocument)
{
xmlDoc = document.implementation.createDocument("", "", null);
xmlDoc.onload = favoriteGen.generateXML;
}
else if (window.ActiveXObject)
{
xmlDoc = new ActiveXObject("Microsoft.XMLDOM");
xmlDoc.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
if (xmlDoc.readyState == 4) favoriteGen.generateXML()
};
}
else
{
alert('브라우저가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

xmlDoc.load("tree.xml");
},
generateXML : function()
{
if(xmlDoc != null)
{
if(xmlDoc.hasChildNodes())
{
var xChildNodes = "";

// 이크.. 참.. 별게 다 틀리네.
if(document.all)
xChildNodes = xmlDoc.childNodes[1].childNodes;
else
xChildNodes = xmlDoc.childNodes[0].childNodes; for(var i=0 ; i < xChildNodes.length ; i++)
{
var node = xChildNodes[i];

if(node.nodeType == XMLConst.ELEMENT_NODE)
{
var title = getAttribute(node,"title");

if(node.nodeName == "folder")
{
// recursive
var folderNode = getFolder("true",title);
favoriteGen.Tree.appendChild(folderNode); favoriteGen.generateXML_R(node,folderNode);
}
else
{
var url = getAttribute(node,"url");
var docNode = getDoc(title,url);
favoriteGen.Tree.appendChild(docNode);
}
}
}
}
}
},
generateXML_R : function(pNode,pAppendNode)
{
if(pNode.hasChildNodes())
{
var xChildNodes = pNode.childNodes; for(var i=0 ; i < xChildNodes.length ; i++)
{
var node = xChildNodes[i];

if(node.nodeType == XMLConst.ELEMENT_NODE)
{
var title = getAttribute(node,"title");

if(node.nodeName == "folder")
{
// recursive
var folderNode = getFolder("true",title);
pAppendNode.appendChild(folderNode); favoriteGen.generateXML_R(node,folderNode);
}
else
{
var url = getAttribute(node,"url");
var docNode = getDoc(title,url);
pAppendNode.appendChild(docNode);
}
}
}
}
}
};
function getFolder(pIsOpen,pText)
{
var div = document.createElement("div");

var isOpenAtt = document.createAttribute("isOpen");
isOpenAtt.value = "true";

var classNameAtt = document.createAttribute("class");
classNameAtt.value = "folder_node_visible"; div.setAttributeNode(isOpenAtt);
div.setAttributeNode(classNameAtt);

/* IE 이상하네... attribute 등록으로 onClick event가 안먹네 */
var spanHTML = "<span class=\"folder_open\" onClick=\"setOpen(this);\">[폴더]" + pText + "</span>";

div.innerHTML = spanHTML; return div;
}
function getDoc(pText,pUrl)
{
var div = document.createElement("div");

var classNameAtt = document.createAttribute("class");
classNameAtt.value = "doc_node_visible";

div.setAttributeNode(classNameAtt);
div.innerHTML = "[문서]<a href=\"" + pUrl + "\">" + pText + "</a>";

return div;
}
function setOpen(pObj)
{
var folderNode = pObj.parentNode;
var isOpen = getAttribute(folderNode,"isOpen");

if(folderNode.hasChildNodes())
{
var xChildNodes = folderNode.childNodes; for(var i=0 ; i < xChildNodes.length ; i++)
{
var node = xChildNodes[i];

if(node.nodeType == XMLConst.ELEMENT_NODE)
{
if(node.nodeName == "DIV")
{
var className = getAttribute(node,"class");
if(isOpen == "true")
{
if(className.substr(0,3) == "doc")
setAttribute(node,"class","doc_node_hidden");
else
setAttribute(node,"class","folder_node_hidden");
}
else
{
if(className.substr(0,3) == "doc")
setAttribute(node,"class","doc_node_visible");
else
setAttribute(node,"class","folder_node_visible");
}
}
}
}
}
setAttribute(pObj,"class",(isOpen=="true" ? "folder_closed" : "folder_open"));
setAttribute(folderNode,"isOpen",(isOpen=="true" ? "false" : "true"));
} function getAttribute(pNode,pAttributeName)
{
var attributes = pNode.attributes; var attNode = attributes.getNamedItem(pAttributeName); return attNode != null ? attNode.nodeValue: null;
}
function setAttribute(pNode,pAttributeName,pValue)
{
var attributes = pNode.attributes; var attNode = attributes.getNamedItem(pAttributeName); if(attNode != null)
attNode.value = pValue;
} //-->
</script>
<style type="text/css" media="all">
.folder_node_visible
{
margin-top:3px;
margin-left:20px;
display:block;
font-size:12px;
}
.doc_node_visible
{
margin-top:3px;
margin-left:20px;
padding:2px 2px 2px 20px;
/*background:url("/image/doc.gif") no-repeat;*/
cursor:pointer;
display:block;
font-size:12px;
}
.folder_node_hidden
{
margin-left:20px;
display:none;
font-size:12px;
}
.doc_node_hidden
{
margin-left:20px;
padding:2px 2px 2px 20px;
/*background:url("/image/doc.gif") no-repeat;*/
cursor:pointer;
display:none;
font-size:12px;
}
.folder_closed
{
padding:2px 2px 2px 20px;
/*background:url("/image/closed.gif") no-repeat;*/
cursor:pointer;
display:block;
font-size:12px;
}
.folder_open
{
padding:2px 2px 2px 20px;
/*background:url("/image/open.gif") no-repeat;*/
cursor:pointer;
display:block;
font-size:12px;
}
</style>
</HEAD> <BODY>
<div id="treeView" name="treeView"></div>
<script language="javascript">
favoriteGen.Tree = document.getElementById("treeView");
favoriteGen.importXML();
</script>
</BODY>
</HTML> ======================================================================================= (2) tree.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
<tree>
<folder title="포탈">
<doc url="http://www.daum.net" title="다음"/>
<doc url="http://www.naver.com" title="네이버"/>
<doc url="http://yahoo.co.kr" title="야후"/>
<doc url="http://empas.com" title="엠파스"/>
<folder title="검색">
<doc url="http://www.google.co.kr" title="구글"/>
</folder>
</folder>
<doc url="http://mar.gar.in" title="마가린"/>
<doc url="http://blog.mar.gar.in" title="마가린 블로그"/>
<doc url="http://sodumarvin.tistory.com" title="소두마빈 블로그"/>
</tree>[출처] xml & javascript로 트리 메뉴 만들기|작성자 없음
by Anna 안나 2008. 10. 24. 20:24
test
by Anna 안나 2008. 10. 24. 20:00
웹사이트를 만들면서 풀다운메뉴나 Context메뉴를 한번쯤 만들어봤을것 같다.
div로 메뉴를 구성하고 마우스이벤트를 걸어 style.display=block, style.display=none 을 적절히 구현해하면 이런한 기능을 만들어낼수 있는다.
문제는 웹화면에서 레이어가 덮지 못하는 것이 존재한다.
Window를 넘기 못한다. 브라우져의 속으로 숨는다.
<frame>을 넘지 못한다. (<iframe> 덮어진다) 화면이 프레임으로 나눠져 있을 경우 자기가 속한 페이지에서만 보이고 넘어가는 부분은 속으로 숨는다.
이런 이유로 메뉴가 content페이지에 include형태로 매번 따라다닐 것이다.
<select>를 덮지 못한다. <select>의 특성상(내용이 펴서 보여줘야함) zIndex가 높게 설계가 되어 있어서 레이어가 구멍이 생기면서 select box가 보인다.
이걸 처리하려면 레이어에 걸치는 select box를 숨겨야한다.(코딩이 만만치 않음) <object>를 덮지 못한다. ActiveX의 화면에 보여지는 부분(그래프를 보여주는 화면이나 Windows Media Player)도 그 속으로 레이어가 숨는다. 위와 같은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던 중 괘 유용한 사이트가 존재하여 소개할까 한다. http://webfx.eae.net/dhtml/dhtmlmenu4/iemenustructure.html URL을 클릭하여 데모를 보면 select뿐만 아니라 window틀 바깥에까지 나가는 걸 볼수 있다.
위 사이트에 있는 메뉴는 정말 막강하나 메뉴디자인이 너무 윈도우프로그램 같아서 일반 웹사이트에 적용하기는 어려울것 같다.
그래서 원리만 참조하고 새로 만들어서 각자 적용해보는게 낫지 않을까 싶다.
이 사이트에서도 설명이 있는데 방법은 window.createPopup() 에 있다.
http://msdn.microsoft.com/library/default.asp?url=/workshop/author/dhtml/reference/methods/createpopup.asp createPopup()으로 생성된 popup객체는 하나의 window객체다. (마치 window.open()으로 띄워진 새창처럼) 그래서 표시되는데 화면의 다른것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자기 영역외의 곳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사라진다. popup객체를 이용할 경우 주의점 몇가지가 있다. 1. window.open()처럼 별도로 페이지를 둘수 없어 document.innerHTML로 내용을 세팅해줘야 한다. 2. 내용을 세팅되도 js나 css는 이미 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적용이 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메소도로 추가시켜야한다. document.createStyleSheet('css/menu.css'); 3. 하나의 window는 하나의 popup만 가질 수 있다. window.createPopup()을 2번하면 이전 popup은 사라진다. 풀다운메뉴처럼 하위에 하위 메뉴가 나올려면 window.createPopup()로 띄운 popup객체의 window에서 createPopup()을 해야한다. 이상을 참고하여 한번 만들어보길 바란다. 그리고 webfx.eae.net 사이트의 xtree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것 같다. http://webfx.eae.net/dhtml/xtree/demo.html 윈도우탐색기처럼 방향키로도 탐색이 가능하며 사용법도 간단하고 script로 추가,삭제가 가능하여 메뉴외에 다른곳에도 응용할수 있을것 같다. 이외에도 다른것들 많이 있으니 한번씩 둘러보길 바란다. script로 이렇게 만들수 있다는게 대단하고 신기하기만 하다. ========================================================================= http://www.javajigi.net에서 허종진 님이 올려주신 글입니다^^ 신기하네용 ㅋㅋ 저도 개발할때 한번 써봐야겠습니다
by Anna 안나 2008. 10. 24. 18:41
<SCRIPT LANGUAGE="JavaScript">
<!--
var screenWidth;
var screenHeight;

if (navigator.appName.substring(0,9) != "Microsoft" && navigator.javaEnabled()) {
var toolkit = java.awt.Toolkit.getDefaultToolkit();
var screen_size = toolkit.getScreenSize();
screenWidth = screen_size.width;
}
else {screenWidth = screen.width;}
if (screenWidth <= 800) {screenWidth = 800;}
else
if (screenWidth <= 1024) {screenWidth = 1024;}

else
if (screenWidth <= 1152) {screenWidth = 1152;}
else
if (screenWidth <= 1280) {screenWidth = 1280;}
else
if (screenWidth <= 1600) {screenWidth = 1600;}

document.write("</head><body background="+screenWidth+".jpg>");


//-->
</SCRIPT>



-------------------

위 소스를 (head)와(/head)사이에 삽입합니다.

배경화면 파일명은 800.jpg, 1024.jpg, 1152.jpg, 1280.jpg, 1600.jpg 등으로 각 해상도에

맞추어서 만든뒤 위 소스가 삽입된 html파일과 같은 디렉토리에 넣어둡니다.



------------------

필요하면 1360같은 해상도도 소스를 추가 할 수 있습니다. (1600상위 해상도 등..)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g4_qa&wr_id=65161.
by Anna 안나 2008. 10. 17. 23:37
체크박스와 라디오버튼을 이미지로 바꾸는 것입니다.

샘플 보기

설치
- MyUI.js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로드)
- MyUI.zip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이미지 파일입니다. (다운로드)
- 업로드 한 후 HTML 페이지에 아래의 코드를 맨 위에 추가합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MyUI.js"></script>
사용법
용도에 따라 아래의 스크립트를 페이지 하단에 추가합니다.

1. 특정한 체크박스만 이미지로 바꾸고 싶으시면new MyCheckBox(document.forms['폼이름'].elements['체크박스이름']);
2. 특정 폼의 모든 체크박스를 이미지로 바꾸고 싶으시면new MyCheckBoxes(document.forms['폼이름']);
3. 특정한 라디오버튼만 이미지로 바꾸고 싶으시면new MyRadioButton(document.forms['폼이름'].elements['체크박스이름']);
4. 특정 폼의 모든 라디오버튼을 이미지로 바꾸고 싶으시면new MyRadioButtons(document.forms['폼이름']);

이미지 바꾸기
자신이 만든 이미지로 바꾸시려면 MyUI.js 소스안에 있는 resources와 styles 부분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한번 보시면 바로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http://blog.miniwini.com/archives/2006/06/@12-32-11.php
by Anna 안나 2008. 10. 17. 23:34
Fun with forms ? customized input elements By Søren Madsen

Ever wanted to match the look of your HTML forms with the rest of your website? This article demonstrates how to apply customized backgrounds to HTML forms, while preserving stucturally clean markup and accesibility.
A few considerations before we begin Before you throw yourself at this, there are some important considerations you have be aware of. Usability Users trust their credit card and personal information with forms on the internet, and that trust is sacred. So changing the appearance of well-known and recognizable browser elements like the basic input elements, may therefore not always be advisable. If you know your audience well enough, and you're confident that changing the appearance of form elements won't confuse or distract said audience from ie. an online purchase, please read on. Differences in user agents The techniques we're about to demonstrate are not generic. Form elements are "replaced elements", which means they come directly from the heart of your OS, and not the browser itself. The CSS specifications do therefore not require that form elements should be able to receive styling.
Most popular browsers have however provided us with options to do so, but not all of them. In fact, the following won't work at all in browsers like Safari , since eg. Safaris form elements are tied closely to the Mac OS presentation system, and therefore doesn't allow styling form elements much more than basic height and width. (Update: The following technique does indeed work in the new Safari 1.2 - Argh, I received contradictory reports! No, it doesn't)
So what are we left with? Well ? from what yours truly has been able to test, the following works in IE5+, partially in Opera, and gecko-based browsers (Netscape, Mozilla/Firebirdfox). Logical restrictions With this technique, we basically hide the given form element, and replace it with graphic backgrounds. Since that doesn't really make sense with all form elements like select, file fields, radio buttons and check boxes due to their behaviour and functions, I've restricted the scope of this article to work with input fields, text areas and submit buttons, and if you're fine with that ? by all means, read on. Some form basics ? the <fieldset> and <legend> elements The fieldset element functions as a structural container for different sections within a form element. An example would be an order form, which is divided in several structural section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credit card information and shipping information ? but all part of the same form element. To provide meaningful structure between these sections, you would use the fieldset element. The legend element provides a feature to give each of these fieldset groupings a caption/title. Here's what it might look like: <form method="post" action="handle.ext">
<fieldset>
<legend>Personal information</legend>
input fields here ...
</fieldset>
<fieldset>
<legend>Credit card information</legend>
input fields here ...
</fieldset>
<fieldset>
<legend>Shipping information</legend>
input fields here ...
</fieldset>
<fieldset>
submit/reset buttons here ...
</fieldset>
</form> Note that the legend element is optional. ? the <label> element Some form elements have an implicit labelling feature, like the value attribute of submit buttons ? but most do not. The label element attaches descriptive information to form elements like input fields, radiobuttons, textareas etc. The label element also provides interactivity by focusing/selecting the form element it describes, when it is clicked on with the mouse.
One or more label elements can be attached to a given form element with the labels for attribute. <label for="tf1">Name: </label><br />
<input type="text" id="tf1" value="" /><br />
<label for="tf2">Email: </label><br />
<input type="text" id="tf2" value="" />

Choose <label for="rb1">Yes</label>
or <label for="rb2">No</label>:<br />
<input id="rb1" name="nlrb" type="radio" value="yes" />
<label for="rb1"> Yes</label><br />
<input id="rb2" name="nlrb" type="radio" value="no" />
<label for="rb2">No</label> The HTML above produces the following result: Name:

Email:

Choose Yes or No:
Yes
No Notice that, by clicking the assigned labels, the appropriate form element is focused/selected - try it out! The labels can be placed anywhere - try choosing Yes or No right here. Styling the contact form For this article, let's do something fairly simple and often needed, the contact form. <form action="default.asp" method="post">
<fieldset>
<legend>Contact form </legend>
<label for="name">Name:</label><br />
<input type="text" id="name" name="name" />
<br />
<label for="email">Email:</label><br />
<input type="text" id="email" name="email" /><br/>
<label for="website">Website:</label><br />
<input type="text" id="website" name="website" value="http://" />
<br />
<label for="comment">Comment:</label><br />
<textarea cols="30" rows="15" name="comment" id="comment">
</textarea>
<br /><label for="submit">&nbsp;</label><br />
<input id="submit" name="submit" type="submit" value="submit" />
</fieldset>
</form> ? See step I ? primary markup First step - positioning the elements Guess what? We received an email from our graphic designer again. He attached an illustration and wrote:
“We have a client whose wife told him that everything we'd done with his new website was just dandy; except for that contact form. She hated that. So the client asked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do something about those standard boring form elements? I told him I'd look into it ... sigh. You told me you like challenges, so what do you say? Can you make the contact form look something like the illustration I attached?” “Sure! I'll get back to you” I replied, while biting my lips. Our basic form in step 1 works well, and makes sense in all its non-styled glory. The labels are followed by a <br />, so everything's lined up nicely - line by line. But in the illustration we were sent, the labels are positioned to the left of the assigned input field; almost like a column. We'll solve that by assigning the <br />'s we do not want to affect our layout a class <br class="nobr" /> ? and that class simply specifies display:none;.
To give our labels the column behaviour, we give them a shared width, float them to the left, and right align them. Here is what we have so far; general design parameters and a primary layout for the form: body {
font-family:Verdana, Arial, Helvetica, sans-serif;
font-size:60%;
margin:50px;
color:#666; }
.fieldset {
width:300px; }
.fieldset .label {
text-align:right;
width:70px;
float:left;
padding:0.2em;
margin:0;
margin-top:0.3em; }
.fieldset .nobr {
display:none; }
.fieldset .textfield {
margin:3px;
height:20px;
width:200px; }
.fieldset .textarea {
margin:3px;
height:165px;
width:200px; } We've obviously also assigned class names to the elements we want to target with CSS. Don't trust us; See for yourself: ? See step II ? Basic layout and structure Next step ? "hiding" the respective form elements So far so good. What we want to do now, is hide the input and textarea elements. Well; not excactly hide, but for this exercise, we don't want to keep anything other than their functionality (areas to fill in text) ? and then we'll decide what their graphical manifestation will be, by the use of background images. In this case; easier done than said, but this is also where our crossbrowser compliancy stops. We've been able to confirm that the following trick works in IE5+, Opera(?) and Gecko based browsers(?), but not in eg. the popular Safari browser for Mac, sorry.
The trick is really simple actually. It turns out that it takes nothing more than a border:solid 0 #fff; applied to the input elements, will hide their manifestation - but not their functionality. The color you specify for the border could be a flaming pink for what it matters, but it doesn't really matter - it won't display. See the following ? the fields are there, you just can't see them: ? See step III ? Input fields are "hidden", except for their functionality Third step ? placing background images in the input elements Placing background images in the input fields, works just like it normally does, with one small exception we'll get back to. The CSS for our .texfield class looks like this for instance: .fieldset .textfield {
margin:3px;
height:20px;
width:200px;
border:solid 0 #fff;
background: transparent
url("graphics/textfield_bg.gif") no-repeat; } See what it looks like: ? See step IV ? input elements with backgrounds replaced with images Looks nice, eh? We obviously have to add some padding to our input and textarea elements, and we'll get back to that ? but right now that's not our biggest concern. Fourth step ? dealing with a few browser differences If you're viewing this article in IE5+ on Windows, you'll notice that the background images in step 4 start scrolling once the input fields are filled up with text. In other browsers the background images stay in place. We don't want that to happen, so we asked ourselves: “What happens if we add fixed to the background rule?” Well ? it did the job solving our problem in IE5+, but caused even bigger problems in other browsers like Mozilla Firefox, because the background images becomes absolutely fixed. So what we'll do, is mix the two solution we now know works in different browsers: .fieldset .textfield {
margin:3px;
height:20px;
width:200px;
border:solid 0 #fff;
background: transparent
url("graphics/textfield_bg.gif") no-repeat fixed; }
fieldset>input.textfield {
background: transparent
url("graphics/textfield_bg.gif") no-repeat; } IE5+ doesn't get the fieldset>input.textfield selector, but other browsers do, so within that selector we'll hide rules from IE5+. And that was pretty much it! The final layout is available below. Adding padding to our input elements, triggered the usual box model problems, so the Tantek box model hack is used to feed appropiate width values to different browsers - but besides that, the remaining new rules are general styling parameters like font-size and color, and some excessive styling of the legend element, that you may disregard. View the source for details on the finished layout: ? See step V ? The final result Final thoughts We sincerely hope this article inspired you / gave you ideas on how to customize the layout and appearance of your online forms. We' do however stress the points raised in the beginning of this article - the considerations about usability and browser differences. Input elements are very hard to style, because todays browsers handles these elements very differently, but if the scope of browsers that this technique was written for, is satisfactory to you, we're glad we could help! Article published 24, Feb, 2004. Please leave comments at corresponding newspost.
Søren Madsen - www.picment.com
http://www.picment.com/articles/css/funwithforms/
by Anna 안나 2008. 10. 17. 22:26
1. 캔버스 사이즈를 늘릴때 shift와 ↑또는 ↓키를 누르면 10px씩 늘어나거나 줄어들어요.

2. 화면이 100%이상이나 이하일때 zoom tool(확대시키는 아이콘) 더블클릭하면 100%로 돌아옵니다.

3. move tool을 선택안하고 있어도 ctrl키를 누르면 이동을 할수 있어요
(pen tool일때는 direct selection tool이 되요;)
(hand tool일때는 zoom tool이 되는군요..)

4. 가끔 화면에 그리드선같은게 뜰때는 ctrl+H키를 누르면 없어져요

5. 배경색과 전경색은 x를 누르면 뒤바뀌구요

6. d를 누르면 배경, 전경색이 검은색 흰색이 됩니다.

7. (text tool을 안쓰고 있을때) 숫자를 누르면
brush tool, clone stamp tool, history brush tool, eraser tool, paint tool, blur tool, dodge tool일때는 -> 칠할때의 opacity값이 변경되고
그 밖에 툴은 -> 선택된 레이어의 opacity값이 변경되요
(※'0'을 누르면 100%가 되요)

8. ctrl+F를 누르면 마지막에 했던 filter가 한번 더 적용되요.

9. ctrl+shift+T를 누르면 마지막에 했던 transform이 한번더 적용되요

10. ctrl+T를 누르면 free transform이 뜨구요 그때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면 transform의 종류도 골를수 있어요
6번에서 추가하자면 x를 누르면 배경, 전경색이 바뀝니다~ (왔다갔다~)
8번에 추가하면 ctrl + Alt + F 하면 마지막에 쓴 필터의 속성창이 나타납니다.
10번에선 ctrl을 누른채 마우스로 transform 포인트로 보이는곳을 찍어서 움직이면 맘대로(약간의 제약은 있지만) 바꿀수있어요. 브러쉬 자주 쓰시는 분은 이거 쓰시면 편하실 꺼예요

[ 키는 브러쉬 크기를 한단계 작게,
] 키는 한단계 크게 하는 단축키 랍니다. 아 생각해보니 [,]는 6.0에서는 다음,이전브러쉬로 넘기는거고
7.0에서는 사이즈 키우고 줄이는거였네요( '') http://www.zeroboard.com/1490448
by Anna 안나 2008. 10. 17. 22:24
Textured graphics are obviously very popular right now, and fortunately there are tons of free Photoshop brushes that will help you to quickly and easily get the textured look you want. This post is a showcase of some of the best sets of brushes available anywhere for creating textures. Dirt Spray (8 brushes) Rust Brushes (13 brushes) Dust & Scratches (12 brushes) Texture Brushes (52 brushes) Scratch Splat Grunge Brushes (15 brushes) Dumpster Brushes (8 brushes) Grunge Brushes 007 (7 brushes) Digea Rust Brushes (9 brushes) TurkHitBox Grunge Set (10 brushes) Cracks (12 brushes) Grunge Notion Brushes (24 brushes)

High Res Dirt Brush Set (8 brushes) Stone and Rust (22 brushes) Cracked Brush Set (19 brushes) Keep Dreaming Volume 44 (12 brushes) Abstract 17 (10 brushes) Grunge Brushes (50 brushes)

Peeling Paint (20 brushes) Scratch Texture (17 brushes) Grunge Brushes 7 (30 brushes) Grunge Brushes 8 (60 brushes) Grunge Brushes 9 (60 brushes) Grunge Brushes 10 (46 brushes) Grunge Brushes by KeReN (40 brushes) Paper Brushes (4 brushes) Rough Edges (19 brushes) Dirt Brushes (5 brushes) Textured Cracks (20 brushes) Texture Brushes (21 brushes) Paper Textures (25 brushes) In Obscuro Texture Brushes (9 brushes) In Obscuro Old Paper Brushes (12 brushes) If you’re interested in working with textures, please see 40 Excellent Photoshop Tutorials for Textures and Backgrounds at Vandelay Design. Originally Published September 22nd, 2008

http://designm.ag/resources/photoshop-texture-brushes/
by Anna 안나 2008. 10. 17. 19:22
색상표 바로가기

'디자인 > col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멋지게 정리된 색상표  (0) 2008.07.29
선호색에 따른 HTML 배색표  (0) 2008.07.29
느낌에 따른 HTML 배색표  (0) 2008.07.29
by Anna 안나 2008. 10. 17. 19:13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dir_id=109&eid=sCEo8JMc3J9QMIW4U4TZw7aN1s2Au/T7&qb=c2hvdXRib3g= http://blog.naver.com/gfeel?Redirect=Log&logNo=120010749129
by Anna 안나 2008. 10. 17. 18:49
Nick La의 디자인 블로그 WebDesignerWall에서 XHTML/CSS를 이용한 겔러리 이미지 데코레이션 CSS Decorative Gallery에 대한 기사가 올라왔다. 이미지툴에서 별도의 작업 없이 SPAN 태그만으로 다양한 이미지 데코레이팅이 가능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PNG의 알파채널을 이용해서 눈에 보이는 부분과 투명값이 적용된 부분을 이용한 Trick인데, WTA의 겔러리에서 Flash Winner등의 뱃지가 썸네일 좌측 상단에 붙어있는 것도 이것과 마찬가지로 Span 태그를 이용한 데코레이션 기법이다.

예문을 8가지나 들어 데모페이지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가장 마음에 드는 데코레이션 기법을 사용해 볼 수 있다. http://www.webtrendawards.com/1337
by Anna 안나 2008. 10. 17. 18:45
VickiWorks Studio에 서 제공하는 가볍고 깔끔한 CSS 블록 네비게이션 메뉴. 단 몇줄의 코드만으로 유치하지 않은 검색엔진 친화적 메뉴를 작성 할 수 있다. Nick La의 검색 엔진 친화 최적화에 대한 블로그를 보면 왜 CSS 메뉴가 플래쉬 메뉴보다 탁월한지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서술하고 있다. Many designers make this mistake by using Flash menus such as those fade-in and animated menus. They might look cool to you but they can’t be seen by the search engines; and thus the links in the Flash menu will not be followed.
SEO에 대한 보다 심청적인 내용에 대해 알고 싶다면 Nick La의 webdesignerwall.com에 기재된 SEO Guide for Designers 기사를 참고하기 바란다. 아무튼 첨부 된 파일은 다음과 같이 HTML 코드와 CSS 코드를 가지고 있으니 자신의 사이트에 직접 추가해 본다. XHTML / CSS Code HTML Code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ul class="menu"> <li><a href="#">Menu01<br /><span>Short desc</span></a></li> <li><a href="#">Menu02<br /><span>Short desc</span></a></li> <li><a href="#">Menu03<br /><span>Short desc</span></a></li> </ul> <ul class="menu"> <li><a href="#">Menu01<br /><span>Short desc</span></a></li> <li><a href="#">Menu02<br /><span>Short desc</span></a></li> <li><a href="#">Menu03<br /><span>Short desc</span></a></li> </ul>
CSS Code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ul.menu { margin:0;padding:0; } ul.menu li { display:block;padding:0; float:left;text-align:left;margin-right:2em; } ul.menu li a { color:#fff;font:bold14px georgia;text-decoration:none;line-height: 1.3em; display:block; } ul.menu li a:hover { color:#ffc300; } ul.menu li span { font:11pxarial; color:#666; margin:0; } ul.menu li span:hover {color:#999;} ul.menu { margin:0;padding:0; } ul.menu li { display:block;padding:0; float:left;text-align:left;margin-right:2em; } ul.menu li a { color:#fff;font:bold 14px georgia;text-decoration:none;line-height: 1.3em; display:block; } ul.menu li a:hover { color:#ffc300; } ul.menu li span { font:11px arial; color:#666; margin:0; } ul.menu li span:hover {color:#999;} http://www.webtrendawards.com/818
by Anna 안나 2008. 10. 17. 18:43
css_vmenu.zip 필자가 IAC Korea 웹사이트에 사용한 CSS Vertical Menu. 특별한 Generator의 도움 없이 CSS의 ID만으로 Selected 효과(클릭한 메뉴가 하이라이트)가 가능한 간단하면서도 검색엔진 친화적 메뉴다. css_vmenu.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다음과 같은 소스가 포함되어 있다. 참 고로 클릭한 메뉴가 다음 페이지에서 Selected On으로 표시하고 싶다면 HTML 문서에서 body 태그에 cars-black이라는 이름의 ID를 부여 해 놓은 후, CSS 파일에서는 아래와 같이 cars-black이라는 ID에 대해 Selected 되었을 경우에 해당 LI 태그의 배경색이 바뀌게끔 정의한다.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body#cars-black a#black, { background-color: #1c1c1c; } body#cars-black a#black, { background-color: #1c1c1c; } XHML & CSS Code XHTML Code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body id="cars-black"> <ul id="vmenu"> <li class="top"><a href="#">Cars Category</a></li> <li><a href="#" id="black-plus">Black Plus+ Membership</a></li> <li><a href="#" id="black">Black membership</a></li> <ul> <li><a href="#">Group A</a></li> <li><a href="#">Group B</a></li> <li><a href="#">Group C</a></li> </ul> <li><a href="#" id="corporate">Corporate Membership</a></li> <li><a href="#" id="platinum">Platinum Membership</a></li> <li class="bottom"><a href="javascript:history.back();">Back to previous</a></li> </ul> </body> <body id="cars-black"> <ul id="vmenu"> <li class="top"><a href="#">Cars Category</a></li> <li><a href="#" id="black-plus">Black Plus+ Membership</a></li> <li><a href="#" id="black">Black membership</a></li> <ul> <li><a href="#">Group A</a></li> <li><a href="#">Group B</a></li> <li><a href="#">Group C</a></li> </ul> <li><a href="#" id="corporate">Corporate Membership</a></li> <li><a href="#" id="platinum">Platinum Membership</a></li> <li class="bottom"><a href="javascript:history.back();">Back to previous</a></li> </ul> </body>
CSS Code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 body {background-color:#000000} body#cars-black a#black, { background-color: #1c1c1c; } #vmenu { font: 11px"Lucida Grande", Geneva, Arial, Verdana, sans-serifsans-serif; list-style-type: none; width: 291px; margin: 25px0px20px0px; padding: 0px; background-color: #2a2a2a; } #vmenu li a { color: #949494; height: 22px; border:1pxsolid#000000; border-bottom: none; padding: 10px0px0px15px; display:block; text-decoration:none} #vmenu li a:hover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none; background-color: #1c1c1c; } #vmenu li.top a { background: #2a2a2aurl(btop.gif) no-repeattop; font-weight: bold; display:block; } #vmenu li.bottom a{ color: #666666; background: #2a2a2aurl(bbottom.gif) no-repeatbottom; display:block; } #vmenu ul {margin: 0px; padding: 0px; list-style-type: none; border: 1pxsolid#000000; border-bottom: none; background-image: url(/images/sample/vmenu_bg.gif); } #vmenu ul li a { height: 15px; color: #949494; padding: 5px0px5px15px; border: none; background-color: #333333; background-image: none; text-decoration:none} #vmenu ul li a:hover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underline; background-color: #333333; background-image: none; } --> </style> <!-- body {background-color:#000000} body#cars-black a#black, { background-color: #1c1c1c; } #vmenu { font: 11px "Lucida Grande", Geneva, Arial, Verdana, sans-serif; list-style-type: none; width: 291px; margin: 25px 0px 20px 0px; padding: 0px; background-color: #2a2a2a; } #vmenu li a { color: #949494; height: 22px; border:1px solid #000000; border-bottom: none; padding: 10px 0px 0px 15px; display:block; text-decoration:none} #vmenu li a:hover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none; background-color: #1c1c1c; } #vmenu li.top a { background: #2a2a2a url(btop.gif) no-repeat top; font-weight: bold; display:block; } #vmenu li.bottom a{ color: #666666; background: #2a2a2a url(bbottom.gif) no-repeat bottom; display:block; } #vmenu ul {margin: 0px; padding: 0px; list-style-type: none; border: 1px solid #000000; border-bottom: none; background-image: url(/images/sample/vmenu_bg.gif); } #vmenu ul li a { height: 15px; color: #949494; padding: 5px 0px 5px 15px; border: none; background-color: #333333; background-image: none; text-decoration:none} #vmenu ul li a:hover { color: #ffffff; text-decoration: underline; background-color: #333333; background-image: none; } --> </style> written by..http://www.webtrendawards.com/838
by Anna 안나 2008. 10. 17. 18:42
웹에서의 디자인 트랜드는 시시각각 빠르게 변화한다. 1990년대 중 후반을 풍미했던 다양한 디자인 트랜드들의 튜터리얼 사이트를 뽑자면 pslover.com과 tutorialwiz.com이 있다. 이들은 이제는 상당히 방대한 양의 튜터리얼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긴 했지만 한번 흘러간 트랜드는 사실 거의 쓰레기와 마찬가지 취급을 받게 된다.

필자도 rgbmix.com이나 8tunes.net을 통해 그동안 다양한 튜터리얼을들을 소개하고 직접 만들어 제공하기도 했지만, 계속해서 변화해 가는 디자인 트랜드속에서 옛날 자료들이 점점 ?어 문드러져 가는 느낌을 받을때는 그것이 참으로 허망하다고 느꼈다.

최근 등장한 PSDTUTS나 Photoshoplady 같은 사이트들은 웹 표준으로 무장한 인터페이스에 Clean & Beauty 스타일의 최신 튜터리얼들로 무장하고 나서 튜터리얼 사이트에서의 세대변화를 몸소 느끼게 해주기도 한다. PSDTUTS는 그동안의 튜터리얼 보다는 조금 더 아티스트적인 실력을 요구하는 고난이도 테크닉들을 많이 접하게 해준다. writen by.. http://www.webtrendawards.com/1453
by Anna 안나 2008. 10. 17. 18:32
Last week I posted a collection of Photoshop brushes for creating your own textured graphics. In addition to using brushes, you can get great results and save considerable amounts of time by taking advantage of textures that are freely available. One excellent resources of textures (and other types of stock images) is Stock.xchng. Below you’ll find more than 60 textures from their site. Each image links to the page on sxc.hu where the image can be downloaded. Wood Textures Grass Textures Sand Textures Paper Textures Canvas Textures Leather Textures Metal Textures Satin/Silk Textures
Wall Textures Other Textures

For more texture resources, see 500+ Photoshop Brushes for Creating Textures. Originally Published September 28th, 2008
by Anna 안나 2008. 10. 17. 18:28
Province : http://designm.ag/resources/60-free-textures-from-sxchu/

You can get great results and save considerable amounts of time by taking advantage of textures that are freely available. One excellent resources of textures (and other types of stock images) is Stock.xchng. Designm.ag has shared us “60+ Free Textures from SXC.hu“, you’ll find more than 60 textures from Stock.xchng. Each image links to the page on sxc.hu where the image can be downloaded.
by Anna 안나 2008. 10. 17. 18:28
웹폰트를 이 게시판에서 양식에 맞게 신청합니다.
그런다음, 신청할때 작성하셨던 이메일주소로 웹폰트파일(~~.EOT)을 받으셨을 것입니다.
그 파일을 계정에 올리신 후, 올린 웹폰트를 페이지에 적용시키려면
아래의 소스를 적용시키고자 하는 페이지의 <head> </head> 사이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style type="text/css">
<!--
@font-face {font-family: 프라데이체; src:url(http://praday.com/praday.eot);}
a:link {font-family: 프라데이체;font-size: 9pt;}
a:visited {font-family: 프라데이체;font-size: 9pt;}
a:hover {font-family: 프라데이체;font-size: 9pt;}
a:acvite {font-family: 프라데이체;font-size: 9pt;}
body,div,table,tr,td,p,span {font-family: 프라데이체;font-size: 9pt;}
-->
</style>

위의 링크나 다른부분에 적용할 때는 스타일에 font-family: 프라데이체; font-size: 9pt; 를 넣어주세요.
※ 위의 경우 다영체의 예를 들었으며 다른폰트를 사용하였을 경우 해당폰트의 이름과 사이즈를 넣어주세요.(빨간글 부분)

질문사항 등은 질답 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by Anna 안나 2008. 10. 17. 18:05




'디자인_포토샵 > p_patte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nsport  (0) 2008.03.08
starry patterns  (0) 2008.03.08
textured stripes  (0) 2008.03.08
Thai patterns  (0) 2008.03.08
12Months  (0) 2008.03.08
bright patterns  (0) 2008.03.08
colorful  (0) 2008.03.08
by Anna 안나 2008. 10. 17. 17:42
IE 의 도구 > 인터넷 옵션 > 프로그램 > 웹설정 원래대로
by Anna 안나 2008. 10. 13. 22:36
외국 무료 웹디자인 리소스 ( 패턴, 배경, 텍스쳐) 출처 : http://www.thewebsqueeze.com/articles/web-design-resource-for-free-patterns-backgrounds-and-textures.html

3Quarks
A rather small selection of backgrounds that include categories such as paper, canvas, wallpaper, cardboard and Japanese papers. Very soft colors. Absolute Background Textures Archive
Archive is a great term since it houses 5740 different textures. Don’t let that amount of textures overwhelm you. You can search by either color or by pattern. And if you want to preview a background, select it and watch the page background change. All Free Backgrounds
Nice selection. Search by color or pattern and preview the background for more detail. Amazing Textures
88 free photo textures. Amurai Shizoo
This site has spectacular backgrounds. The only downside is you can’t get a good view of them without downloading. But I think you’ll find it worth the effort. Auto FX Software
Excellent selection of seamless textures and backgrounds. You will need to sign up for an account but membership is free. Background City
Search this site for backgrounds by either groups or themes. Bravenet CG Textures
Photo textures with many unique categories. The selection is large and impressive and easy to look through since the site has a nice menu tree that is well labeled. Citrus Moon Patterns
This site has a fairly large selection. The nice thing is that you can search by color which often helps in reducing the browsing time. COLOURlovers
One of the more recent additions to this site is their category of patterns. The variety is growing daily so this is a site that you must check out. Createsk8
If you are a user of Illustrator you must see these patterns and textures. These contemporary textures will give your designs the current backdrops we are looking for. There are a few packs that are available for PhotoShop users as well. Be sure to checkout the “textures” category as well. Creative Website Design
Some nice selections here.

Dinpattern
This was a recent find that I have to check each and every time I start a new project. The selection is growing everyday and the quality is fantastic. Dr. Web
Free photo textures that Dr. Web calls “dirty”. Graffiti, sand, stone and more! Everyday Icons What a fun selection of backgrounds. Click on one of the tiny tiles. Each tile comes in many colors. If you want to add some real interest to your website, see these backgrounds.
Gallerie1
A non-English site but you don’t need to know the language to search the textures.

Go Media’s Arsenal
Free watercolor packs and texture packs that are amazing! Grunge Textures
Ok, want something peeling, rusting, twisted, ruined and just plain amazing? Check out this selection of high resolution photos. This site screams bookmark me! K10K Pixel Patterns
974 patterns on file at the present time. So many great ones to choose from. You’ll want to check the usage details however. Not all are allowed for commercial use. I love this site! Kollermedia.at
Currently this site has 270+ backgrounds to select from. I think this site has a nice “current” selection of quality backgrounds. This is a site I’d highly recommend. Limelite
Photo textures to use to create different looks. Very unusual selection that you should find interesting. Milleseicentopercento
Small selection however they are very much in style for today’s web design trends. Must see. Power Directory
Over 8000 backgrounds. Many of the categories are outdated, however the realistic categories such as stone, wood, and nature had some useful backgrounds. RepeatXY
Download gorgeous backgrounds or edit them for your use by using their editor. Also search this site by color. Nice site, a must visit site! Squidfingers
Really unique and dramatic backgrounds here! If you are looking for unusual color combinations this is a nice place to look. Templateyes
Some very nice backgrounds here. It takes only a minute to look through their selection. I saw some really nice potential backgrounds here. This site also has a preview feature so you can get a nice idea of what the background looks like. Texture King
337 current textures including grunge, dirt, concrete, plaster, rust and more. Texture Love
Some really interesting categories of high resolution photos. My favorite is smoke, see if you can fine a favorite category. Urban Dirty
If these photo images don’t inspire you in designing some really interesting sites, I’m not sure much will inspire. Great site that must be bookmarked. Vecteezy
Vector fans will love this site. Beautiful patterns to select from. WebGround
Pages and pages of textures. From light gray, to medium gray, light and dark colors.
by Anna 안나 2008. 10. 12. 20:58
이번에 새로 나온 인증패치는 기존 인증 건너뛰는 방법(추가기능관리 비활성화)으로는 통하지 않습니다.

일단 도구-윈도우 업데이트에서 하라는대로 업데이트 하면 정품인증혜택 업데이트를 합니다.
다시 접속해서 업데이트를 하면 정품인증 문제로 업데이트가 안됩니다.




해결방법



1. 익스플로러 - 도구 - 윈도우 업데이트
2. 업데이트 사이트로 이동이 됩니다.(업데이트 갔을시 초기 사이트 페이지로...)
사이트가 완전 로드되면 빠른설치버튼과 사용자 지정설치 버튼이 뜹니다.
3. 파일 - 열기를 클릭해 (사이트 이동시 쓰는 방법입니다.)
다음을 입력해줍니다.
4.
javascript:void(window.g_sDisableWGACheck='all')
5.
입력후 엔터
6. 아무런 변화가 없다. [이미 적용이 된 상태랍니다]
7.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업데이트가 됨

4번까지 진행 후 즐겨찾기 추가해주시면 업데이트 사이트 바로가기식이 되는 거죠.
이걸 먹여준 다음 빠른 설치버튼이나 사용자 지정설치 버튼 클릭후
업데이트 하는대로 나가면 업데이트 할걸 할 수 있습니다.
by Anna 안나 2008. 10. 3. 11:39

① やる 를 누릅니다.
② 검은화면이 나오면 잽싸게 클릭!
③ 자신의 반응 속도 확인.

주의) 검은 화면이 나오기 전에 누르면
속도 측정이되지 않습니다.




0.193
0.212
0.198


그닥...이군T_T

다른분들보니 엄청빠른분도있고
0.2?? 이신분도있고..


그냥 재미^+^
by Anna 안나 2008. 9. 21. 19:53

"김다영" 님의 LYB"에 대한 전체 평가도는 726 점입니다 "김다영" 님과 "LYB" 의 관계는 인연이 없는 모르는 사람 입니다.



레이더 그래프는 위와 같이
각 항목들의 값들이 평균적으로 나와야 좋습니다.

존경/동경 87점
12 % 신뢰 179점
25 % 라이벌 64점
9 % 공감/친밀감 130점
18 % 편함/이로움 154점
21 % 웃음 112점
15 % 합계 726점

존경/동경 B 등급 특별한 존경이나 동경의 대상은 아니고, 보통입니다. (LYB)씨를 인정하고 존경하는 대상으로 보는것은 아니고, 대등하게 느끼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친구 정도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신뢰 S 등급 (LYB)씨는, 간사함이 없고 곧은 인상을 나타내고 있어서 몹시 신뢰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신뢰는 거울과 같은 것. (김다영)씨가 신뢰감을 주고 있다고 하는 것의 반영이기도 합니다.
라이벌 C 등급 (LYB)씨에 대해서 그다지 경쟁 의식은 없는 것 같습니다. 완전히 별계의 사람으로 인식하거나 도저히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거나 또는 라이벌이라고 의식 할 만큼 인정을 하지 않고 있네요. 친밀한 관계라면 다소의 라이벌 의식이 있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공감/친밀감 A 등급 공감/친밀감의 면에서 꽤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벽을 느끼지 않는 관계로, 장기적인 인간 관계가 완성되어 있는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파장이 맞으므로 일년에 한 번 정도 밖에 만나지 않아도 만나기 힘들어지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편함/이로움 A 등급 (LYB)씨는 꽤 편함/이로움을 주는 존재인 것 같습니다. 연락이 쉽고 언제라도 놀 수 있거나 모르는 것이 있었을 때에 곧 가르쳐 줄수있는 관계입니다. 실리를 수반하는 인간 관계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웃음 B 등급 재미있는 것도 아니고, 시시한 것도 아니고, 유머에 대해서는 보통입니다. 캐릭터의 순도도 보통 정도라고 생각됩니다. (김다영)씨가 즐거움을 추구한다면(LYB)씨에게는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겠네요.


존경/동경 해설 단순하게 존경할 수 있는 사람인가 부디 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사람과 같이 되고 싶은지 어떤지를 수치로 한 것입니다. 실력이나 재능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고 할 뿐만 아니라, 우려나 압박감등도 여기에 나타납니다 신뢰 사람을 배반할 것 같은가 어떤가라고 하는 평가 만이 아니고, 견실하게 기대에 응해 줄 것 같은가 어떨까 들 평가됩니다. 예를 들면, 비밀을 분해할 것 같지도 않은가 만이 아니고, 중요한 일을 맡기거나 할 수 있을까 등을 가리킵니다 라이벌 거의 대등한 관계로 「지고 싶지 않다」라고 하는 의식, 경쟁 의식이 일하고 있는지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그 사람으로부터 자극을 받아 스스로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 같은 관계는 여기서 높은 수치가 됩니다 공감/친밀감 그 사람에 대해서 벽을 느끼지 않고, 얼마나 어깨가 힘을 빼 접할 수가 있는지, 릴렉스 할 수 있는지를 수치화하고 있습니다. 가치관이나 취미, 처지가 비슷한 점등도 여기서 평가됩니다 편함/이로움 편함/이로움라고 말해도 때마침 이용한다고 하는 것은 아니고, 곤란했을 때에 도와 주거나 놀러 가고 싶을 때에 권하기 쉽기도 하고, 즉 작은 회전의 국화 실리의 큰 인간 관계를 평가합니다 웃음 음단순하게 그 사람과 함께 있으면(자) 재미있는 일이 일어나는, 밝은 기분으로 만들어 주는, 그런 평가를 여기서 하고 있습니다. 말을 잘하는 사람, 움직임이 재미있는 사람, 엽기적으로 웃기는 사람인 사람, 모두 여기에 포함됩니다


참고로 여기에서의 LYB는 친구입니다^^;



상대방평가는 http://www.enjoycell.com/index.html?source=3 에서 하셔요~
by Anna 안나 2008. 9. 21. 18:52

"김다영" 님의 가치는 388억3636만1411원 입니다.



마음 117억7330만608원
30 % 재능 34억7037만343원9 % 인덕 139억835만8663원36 % 환경 114억778만8578원29 % 운 1541만2398원-4 % 합계 388억3636만1411원
마음의 B 등급 보통 가격입니다. 무정하게 악담하는 일도 있지만, 끝에가서는 양심이 움직여 냉철하게 하지는 못 할 사람이지요. COOL 한 것보다 , 상냥한 쪽이 사랑받을 것입니다 재능 D 등급 슬프게도 재능은 제로에 가깝습니다. 김다영씨가 세상에서 필요하게 될 때, 재능은 아니고 재산이나 인맥 일것으로 보입니다. 인덕 A 등급 꽤 인덕이 많습니다. 모든 것을 내 던질 정도로 김다영 씨를 지지해 주는 사람도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카리스마로 인해 중책을 담당합니다. 기대에 응할 수 있도록 실력도 갖춥시다. 환경 B 등급 현 시점은 행복하다고 느껴야 합니다. 손해는 없음으로 다른 사람들이 부럽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현실에 만족을 합시다. 운 D 등급 전혀 운이 없습니다. 어떠한 성공도 운이 따르지 않아 만족을 못합니다. 리스크를 재능,인덕,마음으로 가볍게 하려해도 운으로 인해 어렵습니다. 그러나 명심하세요 운이라는 것은 흐름이 있다는 것을….
388억3636만1411원에 대한 상품화 입니다 "김다영"씨를 상품화하면 각각 아래와 같습니다.

·강남 60평 아파트를 4채 구입 할 수 있습니다.
·세계여행을 195회 다녀올 수 있습니다.
·유럽여행을 3884회 다녀올 수 있습니다.
·폭스바겐 뉴비틀을 1110대 구입 할 수 있습니다.
·호텔 스위트 룸에서 19419일 지낼 수 있습니다.
·펜티엄 5를 7768대 구입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카메라를 77673개 구입 할 수 있습니다.
·MP3 플레이어를 129455대 구입 할 수 있습니다.

또, 하루 세끼를 짜장면으로 생활하면 308226일 동안 먹을 수 있습니다.


연예인세트
단독39,800 큐티티셔츠
단독3,900 트레이닝
팬츠6,900 나이키푸마
오늘만70% 오리지날
단독20,800
-->
마음의 해설 마음의 가격은, 당신의 마음의 순수함, 쉬움, 사랑, 정의감등을 계측 해 가격으로 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낮으면 모랄이 없는 사람, 세상에 행복을 낳지 않는 차가운 사람이라는 것이 됩니다 재능의 해설 재 능의 가격은, 문자 그대로 재능을 금액에 나타내고 있습니다.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면, 그 재능만으로 이만큼의 금액은 벌 수 있다, 라고 한 것입니다. 재능은 현재 곧바로 돈이 되어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만, 장래의 수입에 직결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인덕의 해설 인덕과는, 당신이 가지고 있는 매력, 사람에게 사랑받는 힘, 카리스마성을 가격으로 한 것입니다. 인덕이 있으면(자) 당신에게는 강력한 인맥이 완성되어, 그 인맥은 반드시 인생의 도움이 되어 당신을 지지하겠지요 환경의 해설 현 시점에서 얼마나 당신이 풍족한지 , 그것을 평가한 것입니다. 현시점에서 부자인 것은 물론, 보통으로 살아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조차 재산이 됩니다. 또, 당신의 젊음, 용모, 또는 좋아하는 사람이 곁에 있어 벌써 행복한 것도 여기에 가격으로 해서 포함됩니다> 운의 해설 그 대로, 운을 돈의 가치로 잰 것입니다. 운이 좋다면 보통에는 살아갈 수 있지만, 반대로 운이 나쁜 사람은 어떤 재능을 가지고 있어도 괴로운 인생을 걷게 됩니다. 본인의 의지에서는 어떤 것도 할 수 없는 수치로 비교적은, 가장 소중한 요소, 그것이 운인 것입니다
출처 : http://www.enjoycell.com/index.html?source=1


너무하네~운을 저렇게만들어놓다니..T_T
by Anna 안나 2008. 9. 21. 18:46
빛의 산란때문입니다.

보통 밤에는 별빛이나 달빛이 지상까지 내려옵니다.
그런데, 동틀 무렵엔 그러지 못합니다.
태양은 그 어떤 별보다 가까이 있는 천체로
햇빛이 강해서 대기에 퍼져 들어올 무렵 모든 별빛을 가려 버립니다.
그래서 햇빛과 부딪힌 별빛과 달빛은 공중에서 산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지상으로 별빛과 달빛이 많이 도달하지 못해서 그런겁니다.

((-------IMAGE-------))

동트기 10분 전이면 태양빛이 대기에 반사된 부분 아래쪽에 사람이 있겠죠.

정리하자면, 아래 그림과 같이 태양빛이 별빛이나 달빛을 산란시켜 빛을 사방으로 흩어지게
만들어 지상까지 도달하는 빛의 양이 적어 진다는 것이죠.
태양빛이 마치 커튼역할을 하는 거죠.

((-------IMAGE-------))

간단하게 태양빛이 가린다고 했지만,
정확하게는 고도 높은 곳 부터 먼저 태양빛이 도달하여
대기를 산란시켜 버리면, 많은 양의 별빛이나 달빛등이 지상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고,
이때 아직 지상에는 태양빛도 도달하지 않아서
태양빛, 별빛, 달빛등이 하루 중에서 가장 적은 빛만이 지상에 도달하는 것이죠.
by Anna 안나 2008. 8. 23. 18:52
대한민국 국민은 모두가 납세의 의무를 지고 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한국인은 당연히 한국에 세금을 내는 것이 옳다.

하지만 현행 소득세법은 납세의 의무를 거주자에 한정하고 있다.
후술하겠지만, 소득세법에서 납세의 의무를 거주자에 한정하는 이유는 헌법에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경제적 실질을 추구하여 국내에서 소득이 발생한 이에게 세금을 징수하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대한민국에 소득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는 거주자.
이 거주자는 국적이 한국이라고 하여 모두 거주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국적이 한국이 아니라고 하여 거주자가 될 수 없는 것 또한 아니다.

거주자는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년이상 거소를 둔 개인을 말하며,
비거주자는 거주자가 아닌 자로 풀이할 수 있다.(소득세법 제1조 1항)

* 거주기간
: 입국한 날의 다음날부터 출국한 날까지
: 국내에 거소를 둔 기간이 2개 과세기간에 걸쳐서 1년이상인 때에도 국내에 1년이상 거소를 둔 것으로 봄

* 주소
: 생활의 근거가 되는 장소
: 국내에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및 국내에 소재하는 자산의 유무 등 생활관계의 객관적 사실에 따라 판단

* 거소
: 상당한 기간동안 계속하여 거주하는 장소
: 주소와 같이 밀접한 일반적 생활관계가 발생하지 아니하는 장소

즉, 거주자 여부는 국적이나 영주권의 취득과는 관계가 없이 생활관계의 객관적 사실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1) 국내에 주소를 가진 것으로 보는 경우
ㆍ 계속하여 1년 이상 국내에 거주할 것을 통상 필요로 하는 직업을 가진 때
ㆍ 국내에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이 있고 또한 그 직업 및 자산상태에 비추어 계속하여
1년 이상 국내에 거주할 것으로 인정되는 때
ㆍ 외국근무 공무원
ㆍ 거주자 또는 내국법인의 해외 지점이나 영업소에 파견된 임직원
ㆍ 생계를 같이 하는 가족이 거주하는 장소 또는 그 승무원이 근무기간 외의 기간중 통상 체재하는 장소가
국내에 있는 외항선박 또는 항공기의 승무원

2) 국내에 주소가 없는 것으로 보는 경우
ㆍ 계속하여 1년이상 국외에 거주할 것을 통상 필요로 하는 직업을 가진 때
ㆍ 외국국적을 가졌거나 외국의 영주권을 가진 자가 국내에 생계를 같이 하는 가족이 없고
그 직업 및 자산상태에 비추어 재차 입국하여 주로 국내에 거주할 것으로 인정되지 아니하는 때
ㆍ 생계를 같이 하는 가족이 거주하는 장소 또는 그 승무원이 근무기간 외의 기간 중 통상 체재하는 장소가
국외에 있는 외항선박 또는 항공기의 승무원

3) 항상 비거주자로 보는 경우
ㆍ 주한 외교관과 그 외교관의 세대에 속하는 가족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자
ㆍ 한미행정협정 제1조에 규정한 미합중국 군대의 구성원ㆍ 군무원 및 그 가족.
(다만, 미합중국의 소득세를 회피할 목적으로 국내에 주소가 있다고 신고한 경우에는 예외)

4) 거주자 판단 시기
- 비거주자 ▷ 거주자
ㆍ 국내에 주소를 둔 날
ㆍ 소득세법 시행령 제2조 제3항 및 제5항의 규정에 의하여 국내에 주소를 가진 것으로 보는 사유가 발생한 날

- 거주자 ▷ 비거주자
ㆍ 거주자가 주소 또는 거소의 국외이전을 위하여 출국하는 날의 다음날
ㆍ 소득세법 시행령 제2조 제4항 및 제5항의 규정에 의하여 국내에 주소가 없는 것으로 보는 사유가
발생한 날의 다음날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모든 경우는 해당국가에서 1년이상 거주를 가정) 아래와 같다.
- 삼성의 미국지점에 파견된 한국인 임직원은 한국에 소득세 납부
- GE의 미국본사에서 근무하는 한국인은 미국에 소득세 납부

- 주미 대한민국 대사관 근무 한국인은 한국에 소득세 납부
- 주한 미국 대사관 근무 미국인은 미국에 소득세 납부

- 삼성의 한국본사에서 근무하는 미국인은 한국에 소득세 납부
- 삼성의 미국지점에서 근무하는 미국인은 미국에 소득세 납부

사랑은 국경을 초월하지만, 세금도 국경을 초월하는 셈이다.

*주:
상기의 예에서 사용한 기업명칭은 이해를 돕기 위해 활용한 사항이므로, 내용과 관련된 바는 없습니다.

'개인 > knowledg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동트기 10분전이 가장 어두울까  (0) 2008.08.23
by Anna 안나 2008. 8. 23. 18:48
ㅅㄷㄴㅅ
by Anna 안나 2008. 8. 19. 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