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tumuski.com/code/3dCSS.php

깜!짝 놀라실겁니다..



참고로, 위 사이트의 도형은 ONLY CSS코드로만 만들어진겁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27. 23:41
세상 만사 모든일에는 동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동기를 추측할 수 없는 일들을 보면 우리는 괴팍하다거나 이해할 수 없다는 말들을 하곤 하죠. 오늘은 제가 그런 소리를 좀 들어볼 각오로 괴상한 퀴즈 하나를 준비 했습니다. CSS(Cascading Style Sheet)를 이용하여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을 하려고 합니다. 이것은 실무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정답을 알게 된 순간 여러분들은 생각의 가지를 펼쳐서 창의적으로 이것을 실무에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CSS에 자신있는 분들은 도전하세요!

HTML/CSS를 이용하여 화면에 보이는 삼각형의 너비와 높이 및 꼭지점 위치가 동일한 도형을 만들어 보세요. 단, 이것을 만들기 위하여 준수해야 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HTML과 CSS만을 사용하고 문법적으로 유효해야 합니다. HTML Validation Test, CSS Validation TestImage, Javascript, SVGScalable Vector Graphics 등 다른 언어는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body 엘리먼트 안쪽에는 다른 엘리먼트나 문자등 아무것도 넣지 않습니다.Internet Explorer 6~8, Firefox 2~3, Safari 3.x, Opera 9.x, Chrome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보여야 합니다. 조건이 좀 까다롭죠? ^^; 아주 조금 힌트를 드리자면 실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기교라서 여러분들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셔야 할껍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27. 23:39
믹시인증중.^^
by Anna 안나 2008. 11. 27. 23:28
사진만 업로드하면 웹에서 사진합성을해주어 자동으로 보여줍니다.

종류는 다양하더라구요, 합성은 진짜 잘하네요..

재미있는것들도 많으니 한번 해보시길.^^

http://www.photofunia.com/
by Anna 안나 2008. 11. 27. 22:37
자신의 글씨를 폰트로 만들어주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사용사용 방법
1. 서비스에 사용되는 프린트 템플릿을 A4 용지에 프린터합니다.
프린트 템플릿 다운로드
2. 해당 프린트에 A~Z까지 0~9 그리고 특수문자를 자신있게자신있게 해당란에 맞도록 적습니다.
3. 스캔한 후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이미지를 아주 예쁜예쁜 폰트로 만들어드립니다. 폰트를 만들기 위한 필수 항목
프린터, 스캐너 via~ Fontifier - Your own handwriting on your computer!
by Anna 안나 2008. 11. 27. 22:35
구글 크롬 최신버젼 포터블입니다. 제가 사용해보니 속도는 매우 빠르고 역시 구글 답게 메뉴 하나하나 신경썼네요 저번에 어디서 뉴스를 봤는데 사용자가 조금이라도 더 넓게 볼수 있게 메뉴 하나하나 신경 썼다고 했는데 역시 군더더기 없는 화면 구성입니다 ㅎㅎ

chrome_portable_0[1].4.154.22_multilang.exe

크롬화면

다만... 알툴바의 마우스제스쳐를 쓸수 없다는게 좀 흠...
자동로그인 기능은 크롬에도 탑재가 되 있더군요..ㅎㅎ
알패스와 로보폼도 안되는 상황이라.. 크롬 자동로그인을 한번 이용해 볼까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저는 jw브라우져를 쓰고 있었는데요
jw 브라우져도 매우 쓸만해서 안바꾸고 있었거든요
파폭에 비해 jw브라우져가 좋은점이 일단 파폭과 같은 탭형식으로 이건 IE6일때 없었던 기
능이라 탭 기능있는 IE를 쓰고싶어서 jw로 넘어왔었죠
참고로 jw브라우져는 jwnote 개발자님께서 만드셨죠 http://jwmx.tistory.com/category <<여기가 개발자님 블로그입니다.
jwbrowser 화면

지금도 파폭으로 못 넘어가고 jw브라우져에 남아있는 이유는 알툴바 때문이죠;;ㅋ
역시 위대한 알툴바 ㅋㅋ 자동로그인에 즐겨찾기, 인터넷클리닝, 사전,캡쳐 등등 꼭 필요한 기능만 있는 멋진 툴바죠? ㅎㅎ 특히 자동로그인과 마우스제스쳐는 최고인것 같아요
물론 파폭에도 있지만 파폭은 자동로그인쪽이 좀약해요 플러그인으로 지원한다해도
좀 엉성하고..
알툴바처럼 자동로그인 저장한 사이트가 즐겨찾기처럼 나오지는 않더라구요 ㅎㅎ
다만 알툴바도 단점이 존재하죠!
가끔 접속이 안되는 문제(서비스 점검등등..가끔보다는 종종?? 자주??ㅎ) ㅎ 즐겨찾기와
로그인 정보를 다 알툴바에 때려 넣어났는데 급할대 접속이 안되면 답답하고 미치죠
ㅋㅋ 비번이 생각이 안난다는 ㅋㅋ
아..근데 난 지금 크롬을 알리기 위해 포스팅 중인데 왠 jw브라우져와 알툴바 애기가 많죠?
ㅋㅋㅋ.. 아무튼..오늘 구글 크롬을 다시 깔고 사용중이라 아직 이것저것 기능은 저도 많이
몰라요 ㅎㅎ 열심히 써보고 다음에 더 알려드릴께욧 ㅎㅎ
많이 아시는 분 댓글이나 트랙백으로 저한테 갈켜주시기빌 바래요^^ 그럼이만^^
by Anna 안나 2008. 11. 27. 20:27
일부러 다 찾아보려하지 마시고, 궁금한게 있으면 ctrl + f 키로 검색해서 보시길 바랍니다.1.내 홈페이지 링크 사이트 찾아내기
공들여 홈페이지를 만들고 나면 사람들의 발길이 기다려진다. 혹시 누군가 내 홈페이지를 링크해 놓지는 않았나 은근한 기대감도 갖게 되는데...
그 결과를 알고 싶다면 알티비스타(www.altavista.com/)에 가서 검색어 창에 'link:[홈페이지 URL]'을 입력해 보자. 예를 들어 'link:www.howinternet.com'이라고 입력하면 하우인터넷 홈페이지와 링크된 사이트들이 일렬로 나온다.

2.인터넷 연결 통로 추적법
내 PC가 어떤 경로로 인터넷 접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팁을 소개한다.
궁 금하다면 일단 윈도 98도스 창('시작' 버튼을 눌러 '프로그램→한글 MS DOS'를 클릭)을 열어보자. 그런 뒤 명령어 'tracert yahoo.com'을 입력한 다음 키를 누르면 www.yachoo.com/에 접속하기까지의 모든 중간 경로가 화면에 나타난다. 어떤 사이트를 어떤 속도로 경유했는지 자세히 보여주므로 회선 상태를 점검할때에도 유용하다.

3.바탕화면에 사이트 등록하기
웹 사이트를 여행하다 다시 찾고 싶은 사이트를 만나게 되면 바탕화면에 그 사이트를 등록해 놓는다. 그래서 그의 스크톱은 사이트 바로가기 아이콘들로 복잡하지만, 그것이야 말로 인터넷 서핑의 재미라는데... 멋지다 싶은 사이트를 서핑하게 되면사이트 위에서 바로 마우스 오른 쪽 버튼을 누른 뒤 '바로 가기 만들기' 메뉴를 선택한다. 곧이어 뜨는 '바탕화면에 현재 페이지의 바로 가기를 만듭니다.'라는 창에서 '확인' 버튼을 누른다. 만약 아이콘들이 바탕화면에 마구잡이로 까려 있는 것이 보기 싫으면 따로 폴더를 만들어 거기에 아이콘을 정리해 넣으라는 게 그의 충고.

4.움직이는 이메일 만들기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파일을 삽입하는 방법인데, 움직이는 이메일 만드는 방법은 간단하다. 아웃룩 익스프레스의 '새 메일' 메뉴를 열고, '서식→서식 있는 텍스트'로 클릭한다. 이어서 '삽입→그림'을 선택하고 '파일 찾아보기'버튼을 이용해 삽입할 그림 파일을 지정한다. 이렇게 삽입된 그림 파일은 지정한다. 이렇게 삽입된 그림 파일은 스페이스 바나키, 혹은 마우스를 이용해 원하는 위치로 옮겨놓을 수 있다. 하우인터넷e-CD에는 그가 선물용으로 제공하는 움직이는 아이콘들이 수록되어 있다.

5.특정 단어가 포함된 URL 찾기
물 론 인터넷 정보 검색법도 별나다. 도메인명은 본래 해당 사이트의 특징을 함축해서 짓게 마련이라는 점에 착안, 도메인명으로 원하는 정보 사이트를 찾는 것이다. 이를 테면 야후!사이트에 들어가 영화(movie)관련 사이트를 검색할 경우검색어 입력란에'u:movie.ne.co.kr와 같이 URL에 movie가 포함된 사이트들이 나타난다. 그의 파워 웹 서핑 비별은 바로 이것!


6.친구에게 보내는 추천 사이트
인터넷 사이트를 서핑하다 보면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싶을 만큼 좋은 정보를 만날 때가 있다. 이럴 때 유용한 팁을 공개한다. 공유하고 싶은 페이지를 연 상태에서 IE의 '파일' 메뉴를 열고 '보내기→전자 메일로 페이지 보내기' 메뉴를 클릭한다. 이렇게 하면 현재 열려진 페이지 전체를 다른 사용자에게 이메일로 보낼 수 있다. 해당 페이지를 통째로 보내거나 하이트 링크만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7.단축키 활용 노하우
최근 그룹 '샵'의 음악에 푹 빠져 지낸다는 MP3 마니아 윤신철 기자는 초보티를 막 벗은 네티즌을 위해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브라우징 팁 하나를 살짝 공개했다.
흔 히 웹 브라우저 창을 띄워 서핑하다가 다른 곳을 검색하고 싶을 때에는 마우스 커서를 주소입력 창으로 움직이게 마련인데, 키만 누르면 그렇게 키보드와 마우스를 오가는 작업 노드를 줄일 수 있다. 특히 C:나 D:등 드라이브 폴더를 열 때에도 이렇게 작업하면 만사 OK라고!

8.IE 다운로드 경로 바꾸기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이 어디에 있는 지 몰라 헤매는 일이 없도록 다운로드 경로를 지정하는 팁을 알려주었다.윈도의 '시작' 버튼을 눌러 '실행'메뉴를 클릭하고 'regedit'라고 입력한 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Interner Explorer'로 이동한다. 목적지까지 가게 되면 오른쪽 창에 'Download Directory'가 있는데, 이 곳을 더블클릭한 뒤 다운로드 폴더 경로를 다시 지정하면 된다.

9.아웃룩 익스프레스 메일 도착 소리 바꾸기
아웃 룩 익스프레스를 통해 메일이 도착하면 새 메일이 도착 했음을 알리는 신호음을 다른 형태로 바꾸려면 레지스트리를 편집해야 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HKEY_CURRENT_USERAppEve ntsSchemesApps.DefaultMailBee PCurrent'로 이동하자.
그러면 기본갑이 문자 열 형태로 지정되어 있을 것이다. 이것을 정하여 새로운 소리(WAV)가 지정된 폴더와 파일 이름을 정확하게 입력해 주자.

10.웹페이지 시작 사이트를 나만의 것으로!
IE 의 '도구→인터넷 옵션'메뉴를 누르면 자주 가는 사이트를 시작 페이지로 설정해 두는 홈페이지 주소 입력 창이 놓여 있다. 보통'WWW.howinternet.com'과 같이 사이트 주소를 입력해 놓는 경우가 많다. 살짝 공개한 시작 사이트는 바로 자신이 직접 만든 북마크사이트. 웹 브라우저의 메뉴에서 '도구→인터넷 옵션'을 선택해 '일반'탭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홈페이지' 항목의 '현재 페이지'버튼을 눌러보자. start.htm을 연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소스보기'를 클릭하자. 메모장이 뜨면서 start.htm상단에 하우피씨, 하우인터넷등으로 링크된 북마크 사이트들의 소스, 즉

'image:dinodaur:dinodaur 이미지가 들어 있는 사이트들 feature:acrobat:애크러뱃 파일만 검색

11.막강 '연결' 가능 팁
보 통 즐겨찾기를 백업할 경우 C:WINDOWSFavorites를 찾아 폴더의 내용을 모두 저장해 둔다. 물론 이런 식으로도 즐겨 찾기에 저장해 둔 사이트들을 보관할 수 있지만, 이 안에 있는 '연결' 폴더를 조작하면 보다 편리하게 북마크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평소 북마크를 '신문','업무' 등으로 보관한다면 '연결'폴더안에 섹션별로 폴더를 만들어둔다. 이어서 웹 브라우저를 열면 연결바 안에 지금 만든 폴더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제 특정 사이트를 방문했는데 꼭 보관해 둘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면 IE마크로 그려진 URL의 아이콘을 끌어 해당폴더로 드롭시키면 된다. 즐겨 찾기에 사이트를 등록시키는 것은 물론 추후 폴더별로 관리하는 과정들을 단축할 수 있다.

12.볼 수 있는 웹페이지 공간을 더욱 넓게!
웹 브라우저의 메뉴 중 '보기→전체화면'을 클릭하거나 기능키를 누른다. 모니터에 꽉 차는 웹 브라우저를 만나게 될 것이다.

13.웹페이지의 메뉴를 작은 아이콘으로 변신시키기
웹 브라우저의 메뉴에서 '보기→도구모음→사용자 정의'를 클릭한다. 곧이어 '도구모음 사용자 정의' 창이 뜨는데, 여기에서 '텍스트 옵션'을 '작은 아이콘'으로 설정한다. 작은 메뉴 아이콘으로 보다 넓은 웹 브라우저 창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14.가장 쉽고 빠르게 검색하는 방법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키를 누르면 그만! 일례로 주소 창에 '인터넷'이라고 입력하고 키를 눌러보자. 검색 창이 만들어지면서 검색 결과가 쏟아져 나온다.

15.툴바 이미지를 예쁘게 더 예쁘게!
툴 바의 모습을 바꾸려면 툴바 웰 페이퍼를 다운 받아야 한다. MS 공식 사이트인 www.microsoft.com/windows/ie/webaccess/default.asp에 가서 'Internet Explorer 5 Toolbar Wallpaper'를 클릭한 뒤 실행 파일 tbwlpapr.exe를 다운로드해 설치한다.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웹 브라우저의 '도구'메뉴 안에 'Toolbar Wallpaper'메뉴가 생긴다. 이 메뉴를 클릭하면 툴바 월 페이퍼 창이 뜨는데, 여기에서 원하는 벽지로 툴바의 이미지를 바꿔보자. 아울러 네오플래닛의 프로그램(www.neoplanet.com/)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보자. 툴바뿐만 아니라. 익스플로로러 전체의 모습이 달라?을 것이다.

16.새 창에서 새 사이트를 서핑하고 싶다면?
멀티창을 이용해 웹 서핑을 하고 싶다면 해당 링크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그런 뒤 '새 창에서 열기' 메뉴를 클릭해 보자. 이전 웹 사이트 창은 그대로 둔 채 링크 사이트 창만 새로 열어 열람할 수 있다.

17.음악 감상과 웹 서핑을 동시에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고 싶다면 웹 브라우저의 툴바 중 아무 곳에서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라디오' 메뉴를 누른다. 전세계 방송 채널을 골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18.닷컴으로 가는 지름길
URL 이 'WWW.×××.COM'으로 된 사이트를 방문한다면 이제부터 '×××'만 입력한 다음 과 키를 동시에 눌러보자. 만약 www.howinternet.com으로 가고자 한다면 'howinternet'을 입력하고 과 키만 누르면 그만인 것!


19.자동 채우기 기능은 어떻게 사용할까?
'www.h' 만 입력하면 평소 자주 찾는 'www.howinternet.com'이란 URL이 자동으로 채워지는 기능이 바로 '자동채우기' 기능이다. 웹 브라우저의 메뉴 중 '도구→인터넷 옵션'을 선택해 옵션 창을 띄우고, '고급→탐색'을 눌러 '주소에 인라인 자동 완성 사용' 옵션에 체크 표시를 한다.


21.검색한 웹 사이트에서 필요한 문장 빨리 찾기
검색 결과 사이트로 이동한 뒤 검색어와 가장 관련이 많은 부분을 읽고 싶다면? 키를 누른 다음, 다시 한번 검색어를 입력하고 키를 누른다. 해당 검색어가 포함된 문장을 바로 확인할 수 있을 것 이다.

22.IE의 검색 엔진에 사용 순위를 매긴다.
키 를 눌러 IE 5.0의 검색 창을 띄운다. IE5.0에는 네이버와 심마니, 익사이트가 기본 검색 엔진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들의 사용 순위를 정할 수 있는데, 검색 창 메뉴 중 '사용자 정의'를 클릭하고 '네이버'를 맨 위로 보내보자. 이어서 파란색 상하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검색 엔진의 순위를 정할 수 있다.

23.관계 사이트 끼리 모아 보자!
원하는 유용한 사이트를 찾았다고 해서 끝난 게 아니다. 여기서 한 번의 작업을 더 거쳐야 노련한 정보 사냥꾼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조선 일보(www.chosun.com/)사이트로 이동했다면 메뉴에서 '도구→관련링크표시'를 클릭해 보자. 왼쪽 창에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 관련 사이트들이 줄줄이 따라나온다.

24.돈이 절약되는 웹 서핑법 따로 있다!
이전에 방문했던 사이트들은 오프라인을 통해 전화 요금을 따로 들이지 않고 서핑할 수 있다. 메뉴에서 '파일→오프라인으로 작업'을 클릭해 모뎀 연결을 끊은 다음, 히스토리 바를 누른다. 키를 눌러도 좋다. 3주 전, 2주 전,지난 주, 오늘 등 날짜순으로 들렀던 웹 사이트들이 나올 것이다. 여기에 등록된 사이트를 클릭하면 경계적인 웹 서핑이 가능하다.

25.난 일본이나 중국 사이트를 자주 검색하는데….
국 내 사이트는 기본이고, 다른 나라 사이트를 자주 방문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팁 하나! 그 나라 말로 된검색엔진을 아예 IE의 기본 검색엔진으로 등록해 놓는 것이다. 방법은 메뉴 중 '도구→인터넷 옵션'을 선택한 후 '일반' 탭 안에 있는 '언어' 메뉴를 클릭하면 된다. 만약 언어 목록에 '한국어'만 있다면 '추가' 버튼을 누르고, 일본 검색 엔진을 원할 경우 '일본어'를 넣는다. 그리고 이 일본어를 맨 위로 이동시킨 다음, '확인' 버튼으로 마무리한다. 이제 를 눌러 기본 검색 엔진을 불러내면 일본어 검색 엔진이 등장할 것이다. 다른 나라 검색 엔진 역시 마찬가지 방법으로 등록하면 된다.

26.일본어와 중국어 사이트 제대로 보는 법
일단 글로벌 IME를 설치한 뒤 일본어/중국어 사이트를 연다. 그래도 깨져 보이면 '보기→인코딩→일본어/중국어(자동 읽기)'를 택한다. 이 때 '자세히'메뉴를 누르면 원하는 언어 인코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27.오프라인에서 볼 수 있는 사이트를 더 많이 확보하려면?
메 뉴 중 '인터넷 옵션'의 '일반' 탭에는 '열어본 페이지 목록'세션이 있다. 여기에서 페이지 보관 일수를 기본인 20일에서 30일 등으로 늘릴 수 있다. 물론 하드디스크 용량이 충분해야 한다. 만약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하다 싶으면 이 일수를 줄임으로써 어느 정도 디스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28.익스플로러 비에 숨어있는 지름길
키를 눌러 검색 보조 창을 띄우면 지름길이 보인다. 키를 누르면 즐겨 찾기에 등록해 둔 웹 사이트들이 왼쪽 창에 나타나고, 를 누르면 그 동안 서핑했던 사이트들의 히스토리가 등장한다.

29.맘에 드는 웹페이지를 통째로 저장하는 방법은?
웹 브라우저의 메뉴 중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를 클릭한다. 저장 창이 뜨면 옵션을 '모든 웹페이지'로 설정하고 웹 사이트를 저장한다. 만약 지금 PC방에 있다면? 메뉴에서 '도구→메일 및 뉴스→페이지 보내기'를 차례로 선택한다. '첨부 파일'과 '읽기 전용'의 두 가지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해 웹페이지의 내용을 보낼 수 있다.

30.한 프레임 속 정보만 출력할 수 있다!
홈 페이지를 보면 메뉴 창과 본문창으로 나우어진 곳이 많다. 이것은 프레임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인데, 만약 홈페이지의 전체 화면이 아닌 메뉴 창 혹은 본문 차의 내용만 출력하고 싶다면? 이럴 때에는 해당 프레임을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자. 이 곳에 숨겨져 있는 '인쇄'메뉴를 클릭하면 된다.

31.잘 안 보는 상태 표시줄은 없앤다.
웹브라우저 맨 밑에 있는 상태 표시줄을 이용하는 이들은 별로 없다. 그렇다면 '보기'메뉴에서 '상태표시줄'을 택해 체크 표시를 없애자. 화면을 조금이나마 넓게 사용할 수 있다.

32.웹 브라우징 속도를 빠르게!
'인터넷 옵션'의 '고급' 탭을 선택한 다음 '멀티미디어' 항목에 있는 '그림표시','애니메이션 재생','비디오 재생','이미지 더더링'등의 옵션체크를 지운다.

33.맘에 드는 이미지를 복사해 쓰는 법
인 터넷을 돌아다니다 우연히 마음에 드는 이미지를 발견했다면 곧장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복사' 메뉴를 클릭하자. 그리고 페인트샵프로나 포토샵 등 이미지 툴을 열고 다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Paste as News Image'라는 메뉴가 나오면 이를 선택한다.편리하고 간단한 방법이지만 단 한 가지, 저작권 문제부터 해결해야 할 것이다.

34.스팟온의 웹 리코딩 채널 바를 내 웹 브라우저에 달자.
MS 홈페이지인 www.microsoft.com/windows/ie/webaccess/default.asp에 먼저 접속해 보자. 다양한 익스플로러 바들이 나오는데, 그 중 하나를 선택한다.일례로 스팟온(SoptOn)의 웹 투어 익스플로러 바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보자. 스팟온 기능이 웹 브라우저에 추가되어, 웹 서핑한 사이트들을 모두 녹음 시켜 추후에 재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실시간 뉴스를 보고 싶으면 <뉴욕 타임스>나 <불름버그>의 익스플로러 바를 설치한다.

35.드래그&드롭식 즐겨 찾기 추가하기
특 정사이트를 방문 했는데 내용이 좋아 즐겨 찾기에 추가하고 싶다면? 간단히 키를 누르면 된다. 하지만 마우스를 쥐었던 손을 옮겨 키보드로 입력하기가 귀찮다면? 이것도 간단히 해결할 수있다. 주소 창에 놓여 있는 URL표시 아이콘을 클릭해 '즐겨찾기'메뉴로 드래깅하다. 잠시 후에 즐겨 찾기 메뉴가 열리는데, 여기 URL표시 아이콘을 떨어뜨리면 그만이다. 특히 이 방법을 사용하면 특정 폴더 안에 넣어두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36.인터넷에서 쓰는 아이디에 자동 완성 기능을!
대다수의 웹 사이트들이 회원제를 선호한다. 때문에 사이트를 이용하기 위해 매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할 때가 많은데, 이럴 경우 아이디를 넣을 때 자동 완성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면 편해진다. '인터넷 옵션'의 '내용'탭에서 '개인정보' 항목의 '자동완성'버튼을 눌러보자. '자동완성 사용 대상'으로는 '웹 주소','폼','폼에 사용할 사용자 이름과 아이디'체크한다. 그러면 아이디의 첫 자만 입력하면 나버지 철자까지 쓸 필요가 없게 된다.

37.복잡해진 즐겨 찾기 사이트를 보기 좋게!
원하는 웹 사이트들을 즐겨찾기에 넣어두는 데는 한껏 욕심을 보이면서도 관리에는 정작 소홀한 네티즌들이 많다. 하지만 이름순으로만 정렬해도 즐겨 찾기 목록이 한결 정돈되어 보일 것이다.
'즐겨찾기'메뉴를 선택한 수 하단에 나오는 사이트 목록 아무 곳에서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다. 이어서 '이름순 정렬'메뉴를 클릭해 보자. 군기가 꽉 잡힌 군인들처럼 이름순으로 똑바로 늘어설 것이다.

38.사이트 속 링크만 뽑아낼 수 없을까?
물 론 뽑아낼 수 있다. 특정사이트를 열고 '파일 →인쇄'메뉴를 클릭한다. 인쇄창이 뜨면 하단에 놓인 '링크를 표로 인쇄'옵션에 체크한 뒤 '확인'버튼을 누른다. 사이트에 링크된 곳과 링크된 주소가 표 형식으로 좌르르 출력될 것이다.


39.웹 브라우저에서 폴더 탐색기로 곧장 넘어가기
인 터넷에서 무언가를 다운로드했다고 해보자. 이미지도 좋고, 멀티미디어 파일도 좋고, 프로그램도 좋다. 그런데 이렇게 다운로드 받은 파일들을 찾아보기 위해 윈도 '시작'버튼에서 탐색기를 찾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대신 웹브라우저 메뉴에서 '보기→탐색창→폴더'를 차례로 클릭해 보자. 오른쪽 창에 곧장 탐색기 창이 뜰 것이다.
만약 이런 작업도 불편하다 싶으면 아예 폴더 아이콘을 메뉴 아이콘으로 등록시켜 두자. '보기→도구모음→사용자 정의'를 클릭해서 '사용 가능한 아이콘'에서 '폴더 아이콘'을 선택하고 '추가'버튼을 누르면 된다.

40.즐겨 찾기 사이트를 섬네일 이미지로 열람하기
즐 겨찾기 사이트를 갤러리처럼 감상할 수 있는 방법! 인터넷탐색기를 열어 C:WindowsFavorites로 이동한다. Favorites폴더의 '등록정보'창을 불러내 '속성'옵션 중 '멀리 보기 사용'을 체크하고, '탐색기'메뉴 중 '보기→멀리보기'를 클릭한다. Favorites폴더에 담긴 사이트들의 모습이 작은 섬네일 이미지로 등장할 것이다. 만일 이미지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해당 사이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미리 보기 새로 고침'메뉴를 누른다.

41.쿠키를 만들지 못하게 하려면?
'도구→인터넷 옵션'메뉴를 선택하여 '보안'탭으로 이동한다. 여기에 있는 '사용자 정의 수준'버튼을 누르고, 설정 내용 중 '세션단위 쿠키허용'을 '사용안함'으로 설정한다.

42.즐겨 찾기 사이트를 하나의 HTM파일로 묶자
즐 겨 찾기 사이트들을 일일이 찾아다니지 말고 HTM파일로 묶어보자. 백업용으로도 좋을뿐더러 시작 페이지로도 활용할 수 있다.일단 웹 브라우저에서 '파일→가져오기 및 내보내기'를 눌어 마법사를 띄운다. 옵션은 '즐겨찾기 내보내기'로 정하고 '다음'버튼을 누른다. 파일 또는 주소로 내보낼 수 있는데, bookmark.htm이라는 파일로 내보내면 지금까지 모아놓은 북마크사이트들이 웹페이지 링크 형태의 HTML파일로 정리된다.
이 bookmark.htm을 연 상태에서 '도구→인터넷 옵션'을 선택한 후,'일반'탭에서 '홈페이지 옵션'을 '현재페이지'로 설정해 보자. 이제부터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마다 북마크 사이트의 목록이 기록된 페이지가 뜰 것이다.

43.보안 등급은 무엇이 적당할까?
IE의 '인터넷 옵션'의 '보안'탭에서 '인터넷 옵션'은 '보통'으로, '로컬 네트워크'는 '낮음','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는 '최소, '제한된 사이트'는 '높음'으로 두는 게 가장 적당하다.

44.최신 보안 웹 브라우저를 유지 보수하려면?
MS 공식 홈페이지(www.microsoft.com/windows/ie/security/default.asp/)로 이동해 최신 IE보안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패치 버전을 다운로드해 설치한다.

45.사이트가 다운로드되다 멈추었다면?
곧장 키를 눌러 새로 고침 기능을 실행시킨다.

46.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를 날씬하게!
하 드디스크 공간이 모자란다고 고민만 하지 말고 임시 인터넷 파일 폴더를 줄이는 지혜를 발휘해 보자. '도구→인터넷 옵션'으로 들어가 '일반'탭에서 '임시 인터넷 파일' 항목의 '설정'버튼을 누른다. IE는 폴더가 사용할 디스크 공간을 임의로 설정해 놓고 있는데, 자신의 필요에 따라 공간 크기를 조절해 사용하면 된다.

47.내 PC에서 목적사이트까지의 거리는?
내 PC에서 특정 사이트까지의 거리를 접속 시간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읜도의 '시작'버튼을 누르고 '프로그램→한글 MS DOS'를 클릭해 도스 창을 연다. 이어서 명령어 'ping[도메인 URL]을 입력한다. 만약 하우인터넷까지 걸리는 시간을 알고 싶으면 'ping www.howinternet.com'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그 결과는? 'time=123ms'와 같은 결과치와 함께 최대,최소,평균 접속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ms는 'mili second'의 약자로,1/1000초를 뜻한다.

48.안전한 사이트를 보고 있는지 확인하는 법
일단 'https://'를 입력해 웹페이지를 열 수 있다면 안전한 사이트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이트들은 이렇게 해서는 페이지를 열 수 없다. 쇼핑몰 사이트라면 예외겠지만!
또 다른 방법으로 사이트 안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등록정보'메뉴를 클릭해 보자. 보안이 유지되는 HTTP인지 여부를 알려줄 것이다.

49.일본어로 이메일을 보내야만 할 때
일 본어가 포함된 이메일을 보내려면 먼저 윈도에서 이메일 입력을 가능케 하는 일본어 IME를 설치해야 한다. 일본어 IME는 MS공식 홈페이지(www.microsoft.com/Windows/ie/Features/ime.asp)에 들어가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e-CD에 링크되어 있는 일본어 IME(jamondo.exe)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보자. 설치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윈도 트레이에 지구 모양의 아이콘이 생긴다. 이제 이메일 작성 창을 띄우고, 지구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일본어IME'를 선택한다. 일본어 입력용창이 뜨는데, ' 全角히라가나'를 선택한 다음, 영문으로 일본어 발음 적기를 시작한다. 예를 들어, 'watasi'라고 입력한 뒤 스페이스 바를 누르면 일본어 '私 '로 바뀌며, 여기에 'ha'를 입력하면 일본어 조사가 붙는다. 이런 식으로 일본어 이메일을 작성해 보낼 수 있다.

50.웹 서핑을 하다 이메일을 보내고 싶으면?
인 터넷을 여기저기 둘러보다가 메일을 보낼 일이 생겼을 경우, 번거롭게 이메일 프로그램을 따로 실행시키지 말고 이 방법을 써보자. 주소 입력 창에 'mailto:'를 입력하고 이 메일 주소를 입력한다. 예컨대 'mailto:ginnie@howow.com'이라고 기입하고 키를 누른다. 곧장 메일 작성 창이 뜰 것이다. 출처 : naver 지식in
by Anna 안나 2008. 11. 27. 19:31
노래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 고음에 매력을 느끼고

또 그 고음을 하는 방법을 많이 질문하시더군효.;;

10명중 9명이 노래할때 목에 힘을 주고 부릅니다

그중 1명은 미성이라는 말이겠죠.^-^;; 즉 평범한 사람들은

음을 올릴수록 목에 힘을 준다는 소리입니다

일반적으로 턱밑,후두를 둘러싼 목에 양쪽 근육 그리고 쇠골이

있는 가운데 움푹 파인곳 이 3군데에 힘이 들어갔을때 목에 힘을 준다구

표현합니다. 양쪽 근육에 힘을 주면 고음은 되지만 그 고음을 오래 끌 수 없구여

턱밑에 힘을주면 턱밑에 근육이 성대를 밀어버리기 때문에 절대 고음을

낼 수 없습니다 대부분에 분들이 이러한 것들을 모르고 그냥 고음만

하실려구 하시는데 이러한 것들이 고쳐지지 않는 이상 고음은 할 수 없습니다

자..그럼 지금부터 목에 힘을빼는 연습방법에 대해서 말해드리겠습니다

일단 자시에 중음에서 "예"라는 발음을 잡습니다 그 잡은 음으로 한음오래끌기

를 하시는거져 단 그 음을 30초~40초 정도 끌 수 있으셔야 합니다

30초~40초가 안되시는 분들은 첫째-목에 힘을 주시때문에 둘째-호흡법이 빠졌기

때문에 음을 오래 끌 수 없는 것입니다 이 연습을 계속하시다보면 자기자신이

저절로 목에 힘을 빼게되죠 즉 목에 힘을주는 것은 소리에 힘을 줘서 소리는

내는것이구여 목에 힘을 빼고 부르는것은 소리에 힘을 줘서 부르는것이 아니라

정확한 위치를 잡아서 그 위치로 소리를 내는것입니다 말이 좀 이해하기

어려우실텐데 어찌되었든 위와같은 연습을 꾸준히 하시면 언젠가 터득하시겠져

그리고 연습하실때는 거울을 보면서 해주시구여 목에 힘을 들어가는지 안들어

가는지 알아보실려면 음을 내시면서 고개를 좌우로 흔들어보세여 목 근육이

서는지 안서는지 그리고 턱밑이 나오는지 않나오는지 만약에 턱밑에 힘이

들어가시면 혀를 내밀고 연습하세여 혀를 내밀면 턱밑이 쏙 들어가서

힘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말이 길어졌네여

다시한번 간추려서 말하면여


1.자신에 중음으로 "예"라는 음을 잡는다

2.30~40초 때로 한음 오래끌기를 한다

3.거울을 보면서 또는 목을 좌우로 흔들면서 목에 힘이 안들어가는걸 느껴라

4.30~40초가 안될경우 목에 힘이 들어가서 또는 호흡법을 못해서 그런것이다

5.턱밑에 힘이 들어가면 혀를 내밀고 연습해라

'개인 > v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치를 벗어나 절대음감으로 거듭나보자  (2) 2009.02.28
복식호흡 , 목에 힘빼기 , 고음  (0) 2008.11.27
복식호흡,고음목소리,음역대 질문  (0) 2008.11.09
복식호흡  (0) 2008.11.09
by Anna 안나 2008. 11. 27. 00:09
중3학생인데요 변성이같은데요 음이 높게 안올라가요 ( 노래방 거의 맨날감 ) 복식호흡하는법이 몸을 가만히 놔두고 숨을 들위쉴때는 배가 튀어나오게 , 내쉴때 천천히 하면서 배가 들어가게 하는게 맞나요? 틀리다면 확실하게 하는법좀가르쳐주세요 그리고 노래하면서 복식호흡을 어떠케 하나요.. -.-.. 이 질문은상당히 애메한데 그냥 노래 하면서 숨을 들이마쉴때 배가 튀어나오게 들이마쉬면 돼나요? 그리고 노래하면서 목에 힘빼는방법좀 자세히 가르쳐주세요 제가 어려서부터 노래를 부를때 주위 사람들이 목에서 음을낸다고 하거든요.. 그리고 좀만 무리를 하면 목이 많이 상해요.. 요즘에는 좀 더하지만 목에 힘빼서 노래 불르면 고음도 가치 돼나요? 가르쳐주세요~~!! ----------------------------------------- 질문 . 복식호흡 방법이 제가 아는방법이 맞는지 . 노래를 복식호흡으로 하라는데 어떻게 하는지.. . 목에 힘빼서 노래 하기 ( 배에서 소리를내기? , 코 쪽에서 소리 내기 )


우선 첫번째 질문.. 님이 말하는 복식 호흡은 그게 맞구요..ㅎㅎ 노래를 복식으로 하란 말은 숨을 가슴으로 모으지 말고 배로 모으란 소리 입니다 그냥 할려고 자꾸 애 쓰지 마시구 편안하게 하면 자신도 모르게 됩니다..ㅋㅋ 그리고 숨을 빨리 들이마쉬고 내뱉는 연습을 하시면 되는데 이때 어깨가 들썩거리면 안되구요 목에 힘을 빼서 노래를 하란것은 목에 힘을 주고 노래를 부르다가 높은음을 하시게 되면 목소리의 파멸을 가져올수 있어요..ㅋ.ㅋ 그리고 목에 힘을 주거나 높은음을 한다고 목을 뒤로 젖히시는 분이 있으신데 그러는 것은 잘못된거구요 목을 뒤로 젖히시면 목의 성대가 열리지 않아 목이 금방 쉬거나 다시는 높은음을 낼수 없는 목소리를 가져올수 있어요 ㅎㅎ 그리고 가슴에서 소리를 낸다는 말은 있구요..ㅎㅎ 배에서 소리를 내라는 것은 그냥 님이 목 으로 노래를 하지 마시구요 ..ㅋ 배에서 소리를 끄집어 당기듯이 내뱉는 것을 배에서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ㅎㅎㅎ (의외로 해보시면 간단해요...ㅋㅋ) 마지막 코쪽에서 소리를 낸다고 하시는데 이걸 비성 이라고 합니다..ㅎㅎ 비성은 그냥 단지 목소리 톤을 높게 해준다는 것밖에는 없지 비성으로 높은음을 내는건 아닙니다.ㅎ.ㅎ 비성을 쓰는 대표적인 가수가 KCM 이구요 ㅋㅋ 저는 개인적으로 비성보다는 머리에서 울려서 소리를 내는 두성을 추천하구요...ㅋ 발성법과 단점,그리고 기타사항을 적어 놨습니다..ㅎㅎ 단 점 : 1 : 고음역 상태에서 바로 흉성으로 가는단계가 힘들다는겁니다. 2 : 옆에서 마크해주는 코치가 없을경우 정확한 발성을 못하여 심한경우 목에 심한무리를 줄수있고 정확한 발성을 하기위한 상태로 다시돌리기가 힘듭니다 . (혼자 두성을 하실때는 ※절대!! 무리하시면 안되요!) 발성법 : 제일 각광받는 연습법은 예 ~ 이 ~ 아 입니다 . 제가 배울당시는 예~워~ 였는데요. 그당시는 이~아 를 워로 한번에 하는데요 이럴경우 초보자인경우 하기가 힘듭니다. 그럼 발성법은 1. 예~ (2~3초) 최대한 뒤로 당겨주는 느낌으로 발성한다 . 2. 이~ (2~3초)(제일 중요한 위치) 그당겨준 음을 코쪽으로 강하게 ?리듯 올린다. 3. 아~ (3초간 끌며 성대바이브를 해준다) 이~ 음을 뒤로 당기면서 올려준다!! ( 여기서 중요한건 이 ~ 발음할? 혀모양은 뒤로 댕겨주면서 혀의 가운데부분이 위로 올라가있어야 합니다 . 혀 위치가 제일중요하구요. 아~ 하실?는 당기면서 미간쪽으로 올려주시면됩니다 . 기타 사항 : 비성 을 고음으로 착각 하시는분들이있는데요. 비성은 고음이아니라 단지 음의 톤을 높여주는 것뿐입니다. 무슨 말인가하면 . 비성은 육성에서 비강으로 톤을올려주는거구요 두성인경우 육성이아닌음으로 불르는데요. 바로 두성이죠 . . ;; 이게 고음입니다 ^^>;; 이렇게 연습하세요..ㅎㅎㅎ 좋은 답변 ?기를^^ ㅎㅎ

'개인 > vo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치를 벗어나 절대음감으로 거듭나보자  (2) 2009.02.28
목에 힘빼기 (다음1)  (0) 2008.11.27
복식호흡,고음목소리,음역대 질문  (0) 2008.11.09
복식호흡  (0) 2008.11.09
by Anna 안나 2008. 11. 27. 00:05
메모장을 열고 아래와 같이 입력한 후 css0013.htm으로 저장합니다.




Underline 설정
Overline 설정
Line-through 설정
왼쪽정렬
가운데정렬
오른쪽정렬
기준아랫첨자
기준윗첨자
노란색을 배경색으로 설정
파란색을 배경색으로 설정
붉은색을 배경색으로 설정

1. text-decoration:underline
밑줄을 설정합니다. 2. text-decoration:overline
윗줄을 설정합니다. 3. text-decoration:line-through
취소선을 설정합니다. 4. text-align:left
왼쪽 정렬입니다. 5. text-align:center
가운데 정렬입니다. 6. text-align:right
오른쪽 정렬입니다. 7. vertical-align:sub
윗첨자 설정입니다. 8. vertical-align:super
아랫첨자 설정입니다. 9. background-color:yellow
배경색을 노란색으로 설정 : 색상을 직접 입력했습니다. 10. background-color:rgb(0,0,255)
배경색을 파란색으로 설정 : rgb 색상 코드를 입력했습니다. 11. background-color:#ff0000
배경색을 붉은색으로 설정 : 색상 코드를 입력했습니다. ※배경색은 색상 이름을 직접 넣는 방법, rgb(수치,수치,수치)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색상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vertical-align의 종류
baseline : 문자의 기초선에 맞추어 정렬
top : 문자열의 상단에 정렬
middle : 문자열의 중앙을 기초선으로 해서 정렬
bottom : 문자열의 하단에 정렬
text-top : 문자열의 위선을 기초선으로 해서 정렬
text-bottom : 문자열의 아래선을 기초선으로 해서 정렬
백분율 : 문자 높이의 백분율로 기초선 결정
by Anna 안나 2008. 11. 25. 23:41
음..위키엔 별의별게 다있구나.


Season 1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1 - 101 December 17, 1989 7G08 "Simpsons Roasting on an Open Fire" 2 - 102 January 14, 1990 7G02 "Bart the Genius" 3 - 103 January 21, 1990 7G03 "Homer's Odyssey" 4 - 104 January 28, 1990 7G04 "There's No Disgrace Like Home" 5 - 105 February 4, 1990 7G05 "Bart the General" 6 - 106 February 11, 1990 7G06 "Moaning Lisa" 7 - 107 February 18, 1990 7G09 "The Call of the Simpsons" 8 - 108 February 25, 1990 7G07 "The Telltale Head" 9 - 109 March 18, 1990 7G11 "Life on the Fast Lane" 10 - 110 March 25, 1990 7G10 "Homer's Night Out" 11 - 111 April 15, 1990 7G13 "The Crepes of Wrath" 12 - 112 April 29, 1990 7G12 "Krusty Gets Busted" 13 - 113 May 13, 1990 7G01 "Some Enchanted Evening" Season 2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2)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14 - 201 October 11, 1990 7F03 "Bart Gets an F" 15 - 202 October 18, 1990 7F02 "Simpson and Delilah" 16 - 203 October 25, 1990 7F04 "Treehouse of Horror" 17 - 204 November 1, 1990 7F01 "Two Cars in Every Garage and Three Eyes on Every Fish" 18 - 205 November 8, 1990 7F05 "Dancin' Homer" 19 - 206 November 15, 1990 7F08 "Dead Putting Society" 20 - 207 November 22, 1990 7F07 "Bart vs. Thanksgiving" 21 - 208 December 6, 1990 7F06 "Bart the Daredevil" 22 - 209 December 20, 1990 7F09 "Itchy & Scratchy & Marge" 23 - 210 January 10, 1991 7F10 "Bart Gets Hit by a Car" 24 - 211 January 24, 1991 7F11 "One Fish, Two Fish, Blowfish, Blue Fish" 25 - 212 January 31, 1991 7F12 "The Way We Was" 26 - 213 February 7, 1991 7F13 "Homer vs. Lisa and the 8th Commandment" 27 - 214 February 14, 1991 7F15 "Principal Charming" 28 - 215 February 21, 1991 7F16 "Oh Brother, Where Art Thou?" 29 - 216 March 7, 1991 7F14 "Bart's Dog Gets an F" 30 - 217 March 28, 1991 7F17 "Old Money" 31 - 218 April 11, 1991 7F18 "Brush with Greatness" 32 - 219 April 25, 1991 7F19 "Lisa's Substitute" 33 - 220 May 2, 1991 7F20 "The War of the Simpsons" 34 - 221 May 9, 1991 7F21 "Three Men and a Comic Book" 35 - 222 July 11, 1991 7F22 "Blood Feud" Season 3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3)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36 - 301 September 19, 1991 7F24 "Stark Raving Dad" 37 - 302 September 26, 1991 8F01 "Mr. Lisa Goes to Washington" 38 - 303 October 3, 1991 7F23 "When Flanders Failed" 39 - 304 October 10, 1991 8F03 "Bart the Murderer" 40 - 305 October 17, 1991 8F04 "Homer Defined" 41 - 306 October 24, 1991 8F05 "Like Father, Like Clown" 42 - 307 October 31, 1991 8F02 "Treehouse of Horror II" 43 - 308 November 7, 1991 8F06 "Lisa's Pony" 44 - 309 November 14, 1991 8F07 "Saturdays of Thunder" 45 - 310 November 21, 1991 8F08 "Flaming Moe's" 46 - 311 December 5, 1991 8F09 "Burns Verkaufen der Kraftwerk" 47 - 312 December 26, 1991 8F10 "I Married Marge" 48 - 313 January 9, 1992 8F11 "Radio Bart" 49 - 314 January 23, 1992 8F12 "Lisa the Greek" 50 - 315 February 6, 1992 8F14 "Homer Alone" 51 - 316 February 13, 1992 8F16 "Bart the Lover" 52 - 317 February 20, 1992 8F13 "Homer at the Bat" 53 - 318 February 27, 1992 8F15 "Separate Vocations" 54 - 319 March 12, 1992 8F17 "Dog of Death" 55 - 320 March 26, 1992 8F19 "Colonel Homer" 56 - 321 April 9, 1992 8F20 "Black Widower" 57 - 322 April 23, 1992 8F21 "The Otto Show" 58 - 323 May 7, 1992 8F22 "Bart's Friend Falls in Love" 59 - 324 August 27, 1992 8F23 "Brother, Can You Spare Two Dimes?" Season 4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4)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60 - 401 September 24, 1992 8F24 "Kamp Krusty" 61 - 402 October 1, 1992 8F18 "A Streetcar Named Marge" 62 - 403 October 8, 1992 9F01 "Homer the Heretic" 63 - 404 October 15, 1992 9F02 "Lisa the Beauty Queen" 64 - 405 October 29, 1992 9F04 "Treehouse of Horror III" 65 - 406 November 3, 1992 9F03 "Itchy & Scratchy: The Movie" 66 - 407 November 5, 1992 9F05 "Marge Gets a Job" 67 - 408 November 12, 1992 9F06 "New Kid on the Block" 68 - 409 November 19, 1992 9F07 "Mr. Plow" 69 - 410 December 3, 1992 9F08 "Lisa's First Word" 70 - 411 December 17, 1992 9F09 "Homer's Triple Bypass" 71 - 412 January 14, 1993 9F10 "Marge vs. the Monorail" 72 - 413 January 21, 1993 9F11 "Selma's Choice" 73 - 414 February 4, 1993 9F12 "Brother from the Same Planet" 74 - 415 February 11, 1993 9F13 "I Love Lisa" 75 - 416 February 18, 1993 9F14 "Duffless" 76 - 417 March 11, 1993 9F15 "Last Exit to Springfield" 77 - 418 April 1, 1993 9F17 "So It's Come to This: A Simpsons Clip Show" 78 - 419 April 15, 1993 9F16 "The Front" 79 - 420 April 29, 1993 9F18 "Whacking Day" 80 - 421 May 6, 1993 9F20 "Marge in Chains" 81 - 422 May 13, 1993 9F19 "Krusty Gets Kancelled" Season 5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5)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82 - 501 September 30, 1993 9F21 "Homer's Barbershop Quartet" 83 - 502 October 7, 1993 9F22 "Cape Feare" 84 - 503 October 14, 1993 1F02 "Homer Goes to College" 85 - 504 October 21, 1993 1F01 "Rosebud" 86 - 505 October 28, 1993 1F04 "Treehouse of Horror IV" 87 - 506 November 4, 1993 1F03 "Marge on the Lam" 88 - 507 November 11, 1993 1F05 "Bart's Inner Child" 89 - 508 November 18, 1993 1F06 "Boy-Scoutz n the Hood" 90 - 509 December 9, 1993 1F07 "The Last Temptation of Homer" 91 - 510 December 16, 1993 1F08 "$pringfield (Or, How I Learned to Stop Worrying
and Love Legalized Gambling)" 92 - 511 January 6, 1994 1F09 "Homer the Vigilante" 93 - 512 February 3, 1994 1F11 "Bart Gets Famous" 94 - 513 February 10, 1994 1F10 "Homer and Apu" 95 - 514 February 17, 1994 1F12 "Lisa vs. Malibu Stacy" 96 - 515 February 24, 1994 1F13 "Deep Space Homer" 97 - 516 March 17, 1994 1F14 "Homer Loves Flanders" 98 - 517 March 31, 1994 1F15 "Bart Gets an Elephant" 99 - 518 April 14, 1994 1F16 "Burns' Heir" 100 - 519 April 28, 1994 1F18 "Sweet Seymour Skinner's Baadasssss Song" 101 - 520 May 5, 1994 1F19 "The Boy Who Knew Too Much" 102 - 521 May 12, 1994 1F21 "Lady Bouvier's Lover" 103 - 522 May 19, 1994 1F20 "Secrets of a Successful Marriage" Season 6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6)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104 - 601 September 4, 1994 1F22 "Bart of Darkness" 105 - 602 September 11, 1994 1F17 "Lisa's Rival" 106 - 603 September 25, 1994 2F33 "Another Simpsons Clip Show" 107 - 604 October 2, 1994 2F01 "Itchy & Scratchy Land" 108 - 605 October 9, 1994 2F02 "Sideshow Bob Roberts" 109 - 606 October 30, 1994 2F03 "Treehouse of Horror V" 110 - 607 November 6, 1994 2F04 "Bart's Girlfriend" 111 - 608 November 13, 1994 2F05 "Lisa on Ice" 112 - 609 November 27, 1994 2F06 "Homer Badman" 113 - 610 December 4, 1994 2F07 "Grampa vs. Sexual Inadequacy" 114 - 611 December 18, 1994 2F08 "Fear of Flying" 115 - 612 January 8, 1995 2F09 "Homer the Great" 116 - 613 January 22, 1995 2F10 "And Maggie Makes Three" 117 - 614 February 5, 1995 2F11 "Bart's Comet" 118 - 615 February 12, 1995 2F12 "Homie the Clown" 119 - 616 February 19, 1995 2F13 "Bart vs. Australia" 120 - 617 February 26, 1995 2F14 "Homer vs. Patty & Selma" 121 - 618 March 5, 1995 2F31 "A Star Is Burns" 122 - 619 March 19, 1995 2F15 "Lisa's Wedding" 123 - 620 April 9, 1995 2F18 "Two Dozen and One Greyhounds" 124 - 621 April 16, 1995 2F19 "The PTA Disbands" 125 - 622 April 30, 1995 2F32 "'Round Springfield" 126 - 623 May 7, 1995 2F21 "The Springfield Connection" 127 - 624 May 14, 1995 2F22 "Lemon of Troy" 128 - 625 May 21, 1995 2F16 "Who Shot Mr. Burns? Part 1" Season 7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7)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129 - 701 September 17, 1995 2F20 "Who Shot Mr. Burns? Part 2" 130 - 702 September 24, 1995 2F17 "Radioactive Man" 131 - 703 October 1, 1995 3F01 "Home Sweet Homediddly-Dum-Doodily" 132 - 704 October 8, 1995 3F02 "Bart Sells His Soul" 133 - 705 October 15, 1995 3F03 "Lisa the Vegetarian" 134 - 706 October 29, 1995 3F04 "Treehouse of Horror VI" 135 - 707 November 5, 1995 3F05 "King-Size Homer" 136 - 708 November 19, 1995 3F06 "Mother Simpson" 137 - 709 November 26, 1995 3F08 "Sideshow Bob's Last Gleaming" 138 - 710 December 3, 1995 3F31 "The Simpsons 138th Episode Spectacular" 139 - 711 December 17, 1995 3F07 "Marge Be Not Proud" 140 - 712 January 7, 1996 3F10 "Team Homer" 141 - 713 January 14, 1996 3F09 "Two Bad Neighbors" 142 - 714 February 4, 1996 3F11 "Scenes from the Class Struggle in Springfield" 143 - 715 February 11, 1996 3F12 "Bart the Fink" 144 - 716 February 18, 1996 3F13 "Lisa the Iconoclast" 145 - 717 February 25, 1996 3F14 "Homer the Smithers" 146 - 718 March 17, 1996 3F16 "The Day the Violence Died" 147 - 719 March 24, 1996 3F15 "A Fish Called Selma" 148 - 720 March 31, 1996 3F17 "Bart on the Road" 149 - 721 April 14, 1996 3F18 "22 Short Films About Springfield" 150 - 722 April 28, 1996 3F19 "Raging Abe Simpson and His Grumbling Grandson
in 'The Curse of the Flying Hellfish'" 151 - 723 May 5, 1996 3F20 "Much Apu About Nothing" 152 - 724 May 19, 1996 3F21 "Homerpalooza" 153 - 725 May 19, 1996 3F22 "Summer of 4 Ft. 2" Season 8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8)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154 - 801 October 27, 1996 4F02 "Treehouse of Horror VII" 155 - 802 November 3, 1996 3F23 "You Only Move Twice" 156 - 803 November 10, 1996 4F03 "The Homer They Fall" 157 - 804 November 17, 1996 4F05 "Burns, Baby Burns" 158 - 805 November 24, 1996 4F06 "Bart After Dark" 159 - 806 December 1, 1996 4F04 "A Milhouse Divided" 160 - 807 December 15, 1996 4F01 "Lisa's Date with Density" 161 - 808 December 29, 1996 4F07 "Hurricane Neddy" 162 - 809 January 5, 1997 3F24 "El Viaje Misterioso de Nuestro Jomer
(The Mysterious Voyage of Homer)" 163 - 810 January 12, 1997 3G01 "The Springfield Files" 164 - 811 January 19, 1997 4F08 "The Twisted World of Marge Simpson" 165 - 812 February 2, 1997 4F10 "Mountain of Madness" 166 - 813 February 7, 1997 3G03 "Simpsoncalifragilisticexpiala(Annoyed Grunt)cious" 167 - 814 February 9, 1997 4F12 "The Itchy & Scratchy & Poochie Show" 168 - 815 February 16, 1997 4F11 "Homer's Phobia" 169 - 816 February 23, 1997 4F14 "Brother from Another Series" 170 - 817 March 2, 1997 4F13 "My Sister, My Sitter" 171 - 818 March 16, 1997 4F15 "Homer vs. the Eighteenth Amendment" 172 - 819 April 6, 1997 4F09 "Grade School Confidential" 173 - 820 April 13, 1997 4F16 "The Canine Mutiny" 174 - 821 April 20, 1997 4F17 "The Old Man and the Lisa" 175 - 822 April 27, 1997 4F18 "In Marge We Trust" 176 - 823 May 4, 1997 4F19 "Homer's Enemy" 177 - 824 May 11, 1997 4F20 "The Simpsons Spin-Off Showcase" 178 - 825 May 18, 1997 4F21 "The Secret War of Lisa Simpson" Season 9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9)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179 - 901 September 21, 1997 4F22 "The City of New York vs. Homer Simpson" 180 - 902 September 28, 1997 4F23 "The Principal and the Pauper" 181 - 903 October 19, 1997 3G02 "Lisa's Sax" 182 - 904 October 26, 1997 5F02 "Treehouse of Horror VIII" 183 - 905 November 2, 1997 5F01 "The Cartridge Family" 184 - 906 November 9, 1997 5F03 "Bart Star" 185 - 907 November 16, 1997 5F04 "The Two Mrs. Nahasapeemapetilons" 186 - 908 November 23, 1997 5F05 "Lisa the Skeptic" 187 - 909 December 7, 1997 5F06 "Realty Bites" 188 - 910 December 21, 1997 5F07 "Miracle on Evergreen Terrace" 189 - 911 January 4, 1998 5F24 "All Singing, All Dancing" 190 - 912 January 11, 1998 5F08 "Bart Carny" 191 - 913 February 8, 1998 5F23 "The Joy of Sect" 192 - 914 February 15, 1998 5F11 "Das Bus" 193 - 915 February 22, 1998 5F10 "The Last Temptation of Krust" 194 - 916 March 1, 1998 5F12 "Dumbbell Indemnity" 195 - 917 March 8, 1998 4F24 "Lisa the Simpson" 196 - 918 March 22, 1998 5F13 "This Little Wiggy" 197 - 919 March 29, 1998 3G04 "Simpson Tide" 198 - 920 April 5, 1998 5F14 "The Trouble with Trillions" 199 - 921 April 19, 1998 5F15 "Girly Edition" 200 - 922 April 26, 1998 5F09 "Trash of the Titans" 201 - 923 May 3, 1998 5F16 "King of the Hill" 202 - 924 May 10, 1998 5F17 "Lost Our Lisa" 203 - 925 May 17, 1998 5F18 "Natural Born Kissers" Season 10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0)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204 - 1001 August 23, 1998 5F20 "Lard of the Dance" 205 - 1002 September 20, 1998 5F21 "The Wizard of Evergreen Terrace" 206 - 1003 September 27, 1998 5F22 "Bart the Mother" 207 - 1004 October 25, 1998 AABF01 "Treehouse of Horror IX" 208 - 1005 November 8, 1998 5F19 "When You Dish Upon a Star" 209 - 1006 November 15, 1998 AABF02 "D'oh-in in the Wind" 210 - 1007 November 22, 1998 AABF03 "Lisa Gets an 'A'" 211 - 1008 December 6, 1998 AABF04 "Homer Simpson in: 'Kidney Trouble'" 212 - 1009 December 20, 1998 AABF05 "Mayored to the Mob" 213 - 1010 January 10, 1999 AABF06 "Viva Ned Flanders" 214 - 1011 January 17, 1999 AABF07 "Wild Barts Can't Be Broken" 215 - 1012 January 31, 1999 AABF08 "Sunday, Cruddy Sunday" 216 - 1013 February 7, 1999 AABF09 "Homer to the Max" 217 - 1014 February 14, 1999 AABF11 "I'm with Cupid" 218 - 1015 February 21, 1999 AABF10 "Marge Simpson in: 'Screaming Yellow Honkers'" 219 - 1016 February 28, 1999 AABF12 "Make Room for Lisa" 220 - 1017 March 28, 1999 AABF13 "Maximum Homerdrive" 221 - 1018 April 4, 1999 AABF14 "Simpsons Bible Stories" 222 - 1019 April 11, 1999 AABF15 "Mom and Pop Art" 223 - 1020 April 25, 1999 AABF16 "The Old Man and the 'C' Student" 224 - 1021 May 2, 1999 AABF17 "Monty Can't Buy Me Love" 225 - 1022 May 9, 1999 AABF18 "They Saved Lisa's Brain" 226 - 1023 May 16, 1999 AABF20 "Thirty Minutes over Tokyo" Season 11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1)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227 - 1101 September 26, 1999 AABF23 "Beyond Blunderdome" 228 - 1102 October 3, 1999 AABF22 "Brother's Little Helper" 229 - 1103 October 24, 1999 AABF21 "Guess Who's Coming to Criticize Dinner?" 230 - 1104 October 31, 1999 BABF01 "Treehouse of Horror X" 231 - 1105 November 7, 1999 AABF19 "E-I-E-I-(Annoyed Grunt)" 232 - 1106 November 14, 1999 BABF02 "Hello Gutter, Hello Fadder" 233 - 1107 November 21, 1999 BABF03 "Eight Misbehavin'" 234 - 1108 November 28, 1999 BABF05 "Take My Wife, Sleaze" 235 - 1109 December 19, 1999 BABF07 "Grift of the Magi" 236 - 1110 January 9, 2000 BABF04 "Little Big Mom" 237 - 1111 January 16, 2000 BABF06 "Faith Off" 238 - 1112 January 23, 2000 BABF08 "The Mansion Family" 239 - 1113 February 6, 2000 BABF09 "Saddlesore Galactica" 240 - 1114 February 13, 2000 BABF10 "Alone Again, Natura-Diddily" 241 - 1115 February 20, 2000 BABF11 "Missionary: Impossible" 242 - 1116 February 27, 2000 BABF12 "Pygmoelian" 243 - 1117 March 19, 2000 BABF13 "Bart to the Future" 244 - 1118 April 9, 2000 BABF14 "Days of Wine and D'oh'ses" 245 - 1119 April 30, 2000 BABF16 "Kill the Alligator and Run" 246 - 1120 May 7, 2000 BABF15 "Last Tap Dance in Springfield" 247 - 1121 May 14, 2000 BABF18 "It's a Mad, Mad, Mad, Mad Marge" 248 - 1122 May 21, 2000 BABF19 "Behind the Laughter" Season 12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2)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249 - 1201 November 1, 2000 BABF21 "Treehouse of Horror XI" 250 - 1202 November 5, 2000 BABF20 "A Tale of Two Springfields" 251 - 1203 November 12, 2000 BABF17 "Insane Clown Poppy" 252 - 1204 November 19, 2000 CABF01 "Lisa the Tree Hugger" 253 - 1205 November 26, 2000 CABF04 "Homer vs. Dignity" 254 - 1206 December 3, 2000 CABF02 "The Computer Wore Menace Shoes" 255 - 1207 December 10, 2000 CABF03 "The Great Money Caper" 256 - 1208 December 17, 2000 CABF06 "Skinner's Sense of Snow" 257 - 1209 January 7, 2001 BABF22 "HOMR" 258 - 1210 January 14, 2001 CABF05 "Pokey Mom" 259 - 1211 February 4, 2001 CABF08 "Worst Episode Ever" 260 - 1212 February 11, 2001 CABF07 "Tennis the Menace" 261 - 1213 February 18, 2001 CABF10 "Day of the Jackanapes" 262 - 1214 February 25, 2001 CABF12 "New Kids on the Blecch" 263 - 1215 March 4, 2001 CABF09 "Hungry, Hungry Homer" 264 - 1216 March 11, 2001 CABF11 "Bye Bye Nerdie" 265 - 1217 April 1, 2001 CABF13 "Simpson Safari" 266 - 1218 April 29, 2001 CABF14 "Trilogy of Error" 267 - 1219 May 6, 2001 CABF15 "I'm Goin' to Praiseland" 268 - 1220 May 13, 2001 CABF16 "Children of a Lesser Clod" 269 - 1221 May 20, 2001 CABF17 "Simpsons Tall Tales" Season 13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3)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270 - 1301 November 6, 2001 CABF19 "Treehouse of Horror XII" 271 - 1302 November 11, 2001 CABF22 "The Parent Rap" 272 - 1303 November 18, 2001 CABF20 "Homer the Moe" 273 - 1304 December 2, 2001 CABF18 "A Hunka Hunka Burns in Love" 274 - 1305 December 9, 2001 CABF21 "The Blunder Years" 275 - 1306 December 16, 2001 DABF02 "She of Little Faith" 276 - 1307 January 6, 2002 DABF01 "Brawl in the Family" 277 - 1308 January 20, 2002 DABF03 "Sweets and Sour Marge" 278 - 1309 January 27, 2002 DABF05 "Jaws Wired Shut" 279 - 1310 February 10, 2002 DABF04 "Half-Decent Proposal" 280 - 1311 February 17, 2002 DABF06 "The Bart Wants What It Wants" 281 - 1312 February 24, 2002 DABF07 "The Lastest Gun in the West" 282 - 1313 March 10, 2002 DABF09 "The Old Man and the Key" 283 - 1314 March 17, 2002 DABF08 "Tales from the Public Domain" 284 - 1315 March 31, 2002 DABF10 "Blame It on Lisa" 285 - 1316 April 7, 2002 DABF11 "Weekend at Burnsie's" 286 - 1317 April 21, 2002 DABF12 "Gump Roast" 287 - 1318 April 28, 2002 DABF13 "I Am Furious Yellow" 288 - 1319 May 5, 2002 DABF14 "The Sweetest Apu" 289 - 1320 May 12, 2002 DABF15 "Little Girl in the Big Ten" 290 - 1321 May 19, 2002 DABF16 "The Frying Game" 291 - 1322 May 22, 2002 DABF17 "Papa's Got a Brand New Badge" Season 14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4)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292 - 1401 November 3, 2002 DABF19 "Treehouse of Horror XIII" 293 - 1402 November 10, 2002 DABF22 "How I Spent My Strummer Vacation" 294 - 1403 November 17, 2002 DABF20 "Bart vs. Lisa vs. the Third Grade" 295 - 1404 November 24, 2002 DABF18 "Large Marge" 296 - 1405 December 1, 2002 DABF21 "Helter Shelter" 297 - 1406 December 15, 2002 EABF01 "The Great Louse Detective" 298 - 1407 January 5, 2003 EABF02 "Special Edna" 299 - 1408 January 12, 2003 EABF03 "The Dad Who Knew Too Little" 300 - 1409 February 2, 2003 EABF04 "Strong Arms of the Ma" 301 - 1410 February 9, 2003 EABF06 "Pray Anything" 302 - 1411 February 16, 2003 EABF05 "Barting Over" 303 - 1412 February 16, 2003 EABF07 "I'm Spelling as Fast as I Can" 304 - 1413 March 2, 2003 EABF08 "A Star Is Born-Again" 305 - 1414 March 9, 2003 EABF09 "Mr. Spritz Goes to Washington" 306 - 1415 March 16, 2003 EABF10 "C.E. D'oh" 307 - 1416 March 30, 2003 EABF11 "'Scuse Me While I Miss the Sky" 308 - 1417 April 13, 2003 EABF12 "Three Gays of the Condo" 309 - 1418 April 27, 2003 EABF13 "Dude, Where's My Ranch?" 310 - 1419 May 4, 2003 EABF14 "Old Yeller Belly" 311 - 1420 May 11, 2003 EABF15 "Brake My Wife, Please" 312 - 1421 May 18, 2003 EABF16 "The Bart of War" 313 - 1422 May 18, 2003 EABF17 "Moe Baby Blues" Season 15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5)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314 - 1501 November 2, 2003 EABF21 "Treehouse of Horror XIV" 315 - 1502 November 9, 2003 EABF18 "My Mother the Carjacker" 316 - 1503 November 16, 2003 EABF20 "The President Wore Pearls" 317 - 1504 November 23, 2003 EABF22 "The Regina Monologues" 318 - 1505 November 30, 2003 EABF19 "The Fat and the Furriest" 319 - 1506 December 7, 2003 FABF01 "Today I Am a Clown" 320 - 1507 December 14, 2003 FABF02 "'Tis the Fifteenth Season" 321 - 1508 January 4, 2004 FABF03 "Marge vs. Singles, Seniors, Childless Couples
and Teens, and Gays" 322 - 1509 January 11, 2004 FABF04 "I, (Annoyed Grunt)-Bot" 323 - 1510 January 25, 2004 FABF05 "Diatribe of a Mad Housewife" 324 - 1511 February 8, 2004 FABF06 "Margical History Tour" 325 - 1512 February 15, 2004 FABF07 "Milhouse Doesn't Live Here Anymore" 326 - 1513 February 22, 2004 FABF09 "Smart and Smarter" 327 - 1514 March 14, 2004 FABF08 "The Ziff Who Came to Dinner" 328 - 1515 March 21, 2004 FABF10 "Co-Dependent's Day" 329 - 1516 March 28, 2004 FABF11 "The Wandering Juvie" 330 - 1517 April 18, 2004 FABF12 "My Big Fat Geek Wedding" 331 - 1518 April 25, 2004 FABF14 "Catch 'Em if You Can" 332 - 1519 May 2, 2004 FABF15 "Simple Simpson" 333 - 1520 May 9, 2004 FABF13 "The Way We Weren't" 334 - 1521 May 16, 2004 FABF17 "Bart-Mangled Banner" 335 - 1522 May 23, 2004 FABF18 "Fraudcast News" Season 16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6)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336 - 1601 November 7, 2004 FABF23 "Treehouse of Horror XV" 337 - 1602 November 14, 2004 FABF20 "All's Fair in Oven War" 338 - 1603 November 21, 2004 FABF19 "Sleeping With the Enemy" 339 - 1604 December 5, 2004 FABF22 "She Used to Be My Girl" 340 - 1605 December 12, 2004 FABF21 "Fat Man and Little Boy" 341 - 1606 January 16, 2005 FABF16 "Midnight Rx" 342 - 1607 January 30, 2005 GABF01 "Mommie Beerest" 343 - 1608 February 6, 2005 GABF02 "Homer and Ned's Hail Mary Pass" 344 - 1609 February 13, 2005 GABF03 "Pranksta Rap" 345 - 1610 February 20, 2005 GABF04 "There's Something About Marrying" 346 - 1611 March 6, 2005 GABF05 "On a Clear Day I Can't See My Sister" 347 - 1612 March 13, 2005 GABF06 "Goo Goo Gai Pan" 348 - 1613 March 20, 2005 GABF07 "Mobile Homer" 349 - 1614 April 3, 2005 GABF08 "The Seven-Beer Snitch" 350 - 1615 April 17, 2005 GABF12 "Future-Drama" 351 - 1616 May 1, 2005 GABF10 "Don't Fear the Roofer" 352 - 1617 May 1, 2005 GABF11 "The Heartbroke Kid" 353 - 1618 May 8, 2005 GABF13 "A Star Is Torn" 354 - 1619 May 8, 2005 GABF14 "Thank God It's Doomsday" 355 - 1620 May 15, 2005 GABF15 "Home Away from Homer" 356 - 1621 May 15, 2005 GABF09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Guest Star" Season 17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7)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357 - 1701 September 11, 2005 GABF18 "Bonfire of the Manatees" 358 - 1702 September 18, 2005 GABF16 "The Girl Who Slept Too Little" 359 - 1703 September 25, 2005 GABF19 "Milhouse of Sand and Fog" 360 - 1704 November 6, 2005 GABF17 "Treehouse of Horror XVI" 361 - 1705 November 13, 2005 GABF20 "Marge's Son Poisoning" 362 - 1706 November 20, 2005 GABF21 "See Homer Run" 363 - 1707 November 27, 2005 GABF22 "The Last of the Red Hat Mamas" 364 - 1708 December 11, 2005 HABF02 "The Italian Bob" 365 - 1709 December 18, 2005 HABF01 "Simpsons Christmas Stories" 366 - 1710 January 8, 2006 HABF03 "Homer's Paternity Coot" 367 - 1711 January 29, 2006 HABF04 "We're on the Road to D'ohwhere" 368 - 1712 February 26, 2006 HABF05 "My Fair Laddy" 369 - 1713 March 12, 2006 HABF06 "The Seemingly Never-Ending Story" 370 - 1714 March 19, 2006 HABF07 "Bart Has Two Mommies" 371 - 1715 March 26, 2006 HABF08 "Homer Simpson, This Is Your Wife" 372 - 1716 April 2, 2006 HABF09 "Million Dollar Abie" 373 - 1717 April 9, 2006 HABF10 "Kiss Kiss, Bang Bangalore" 374 - 1718 April 23, 2006 HABF11 "The Wettest Stories Ever Told" 375 - 1719 April 30, 2006 HABF12 "Girls Just Want to Have Sums" 376 - 1720 May 7, 2006 HABF13 "Regarding Margie" 377 - 1721 May 14, 2006 HABF14 "The Monkey Suit" 378 - 1722 May 21, 2006 HABF16 "Marge and Homer Turn a Couple Play" [edit] Season 18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8)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379 - 1801 September 10, 2006 HABF15 "The Mook, the Chef, the Wife and Her Homer" 380 - 1802 September 17, 2006 HABF18 "Jazzy and the Pussycats" 381 - 1803 September 24, 2006 HABF20 "Please Homer, Don't Hammer 'Em" 382 - 1804 November 5, 2006 HABF17 "Treehouse of Horror XVII" 383 - 1805 November 12, 2006 HABF21 "G.I. (Annoyed Grunt)" 384 - 1806 November 19, 2006 HABF19 "Moe'N'a Lisa" 385 - 1807 November 26, 2006 HABF22 "Ice Cream of Margie (with the Light Blue Hair)" 386 - 1808 December 10, 2006 JABF02 "The Haw-Hawed Couple" 387 - 1809 December 17, 2006 JABF01 "Kill Gil, Volumes I & II" 388 - 1810 January 7, 2007 JABF03 "The Wife Aquatic" 389 - 1811 January 28, 2007 JABF05 "Revenge Is a Dish Best Served Three Times" 390 - 1812 February 11, 2007 JABF04 "Little Big Girl" 391 - 1813 February 18, 2007 JABF07 "Springfield Up" 392 - 1814 March 4, 2007 JABF09 "Yokel Chords" 393 - 1815 March 11, 2007 JABF08 "Rome-old and Juli-eh" 394 - 1816 March 25, 2007 JABF06 "Homerazzi" 395 - 1817 April 22, 2007 JABF10 "Marge Gamer" 396 - 1818 April 29, 2007 JABF11 "The Boys of Bummer" 397 - 1819 May 6, 2007 JABF13 "Crook and Ladder" 398 - 1820 May 13, 2007 JABF12 "Stop or My Dog Will Shoot" 399 - 1821 May 20, 2007 JABF14 "24 Minutes" 400 - 1822 May 20, 2007 JABF15 "You Kent Always Say What You Want" [edit] Season 19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19)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401 - 1901 September 23, 2007 JABF20 "He Loves to Fly and He D'ohs" 402 - 1902 September 30, 2007 JABF18 "Homer of Seville" 403 - 1903 October 7, 2007 JABF21 "Midnight Towboy" 404 - 1904 October 14, 2007 JABF19 "I Don't Wanna Know Why the Caged Bird Sings" 405 - 1905 November 4, 2007 JABF16 "Treehouse of Horror XVIII" 406 - 1906 November 11, 2007 JABF22 "Little Orphan Millie" 407 - 1907 November 18, 2007 JABF17 "Husbands and Knives" 408 - 1908 November 25, 2007 KABF01 "Funeral for a Fiend" 409 - 1909 December 16, 2007 KABF02 "Eternal Moonshine of the Simpson Mind" 410 - 1910 January 6, 2008 KABF03 "E Pluribus Wiggum" 411 - 1911 January 27, 2008 KABF04 "That 90's Show" 412 - 1912 February 17, 2008 KABF05 "Love, Springfieldian Style" 413 - 1913 March 2, 2008 KABF06 "The Debarted" 414 - 1914 March 9, 2008 KABF07 "Dial 'N' for Nerder" 415 - 1915 March 30, 2008 KABF08 "Smoke on the Daughter" 416 - 1916 April 13, 2008 KABF09 "Papa Don't Leech" 417 - 1917 April 27, 2008 KABF10 "Apocalypse Cow" 418 - 1918 May 4, 2008 KABF11 "Any Given Sundance" 419 - 1919 May 11, 2008 KABF12 "Mona Leaves-a" 420 - 1920 May 18, 2008 KABF13 "All About Lisa" [edit] Season 20 This article or section is a list of upcoming television episodes of an already-running TV series.
It may contain non-definitive information based on advertisements, a website or interviews. The information may change if some episodes are postponed or moved up. Main article: The Simpsons (season 20) The following episodes may or may not be in the 20th season. # Original airdate Prod. Code Title 421 - 2001 September 28, 2008 KABF17 "Sex, Pies and Idiot Scrapes"[9] 422 - 2002 October 5, 2008 KABF15 "Lost Verizon"[10] 423 - 2003 October 19, 2008 KABF14 "Double, Double, Boy in Trouble"[11] 424 - 2004 November 2, 2008[12] KABF16 "Treehouse of Horror XIX"[13][14] 425 - 2005 November 9, 2008 KABF18 "Dangerous Curves"[15] 426 - 2006 November 16, 2008 KABF19 "Homer and Lisa Exchange Cross Words"[16] 427 - 2007 November 30, 2008 KABF20 "Mypods and Boomsticks"[17] 428 - 2008 December 7, 2008 KABF21 "The Burns and the Bees"[18] ???
LABF01 "Take My Life, Please"[19] ???
LABF08 "Father Knows Worst"[20] ???
LABF09 "Four Great Women and a Manicure"[21] ???
LABF10 "Waverly Hills 9021-D'oh"[22] ???
LABF11 "In the Name of the Grandfather"[23] ???
LABF12 "Coming to Homerica"[24] ???
LABF16 "The Great Wife Hope"[25] ???

"Lisa the Drama Queen"[26] ???

"The Good, the Sad and the Drugly"[27] ???

"Homer the Whopper"[28] ???

"Eeny Teeny Maya Moe"[29] ???

"Bart Gets a 'Z'"[30]
by Anna 안나 2008. 11. 25. 21:49
블로그를 시작한지도 3년이 훌쩍 넘었고, 문득 한글 뿐만이 아니라 되지도 않는 영어지만 영문 블로그도 마련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ㅇ') 아무래도 한국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보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영어를 사용해서 블로깅을 하면 더욱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말이죠.

어쨌든 그래서 해외 무료 호스팅에 텍스트큐브가 설치되는 곳을 찾아다니기 시작했습니다. 국내 무료 계정보다 해외에서 접속할 때는 아무래도 해외에 서버를 두고 있는 곳이 좀 더 빠를거라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나름 해외 무료 호스팅 정보의 메카인 Free Web Hosting과 FreeWebspace.net 등을 비롯해 구글과 야후를 아주 쥐잡듯이 뒤진 것 같습니다. 한번이라도 해외 무료 계정을 써보려고 검색을 해보신 적이 있다면 아시겠지만, 해외에는 무료 호스팅 사이트가 정말 많습니다. 스펙도 엄청 빵빵한 곳도 많구요. 물론, 완전 쓰레기 같은 호스팅 업체도 많고 개인정보 피싱을 목적으로 하는 곳도 있다고 하더군요. (ㅡ.ㅡ^)

어쨌든 텍스트큐브 설치를 위해서 몇 군데(아니 수십군데(?) 가입을 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설치 후 완벽하게 블로깅을 할 수 있는 환경은 아무데도 없었습니다. (ㅜ.ㅡ) 무료 호스팅에 한해서 말이죠. 해외에서 텍스트큐브 사용이 불가한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업로드 가능한 파일 확장자가 극히 제한적이다. 그래서 .po나 .tpl 심지어 .xml 파일 등도 업로드가 되지 않아 설치는 엄두조차 낼 수 없다. 계정 HDD 용량은 큰데 실제로 파일 하나당 크기를 500kb 미만으로 제한해 둔 곳이 꽤 있다. 500kb가 생각해보면 그리 작은 사이즈는 아니지만 압박이 상당하다. 모든 사진을 500kb 미만으로 리사이즈 해야 한다고 생각해보면 답이 나온다. Apache 모듈인 mod_rewrite가 로드되어 있는 경우가 드물다. 이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 뿐만 아니라 블로그 운영 자체가 안된다. PHP function인 fsocketopen()을 제한해두고 있다. 국내에서 이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보안상의 문제로 100이면 98은 전부 제한을 하고 있다. 포럼에 글을 남기거나 메일을 보내면 답은 하나 뿐이다. "You Need Upgrade Premium Hosting." 보안상의 문제로 FTP나 Control Panel에서 디렉토리를 CHMOD '777' 권한을 줬음에도 반영이 되질 않는다. 고로, 첨부파일도 업로드가 되지 않고, cache 폴더 안에도 파일이 생성되지 않아 데이터 복원은 물론 무한 checkup 루프에 걸리기 십상이다. 사실 이 과정까지 오는 것도 힘들다. 왜냐하면 대개의 호스팅의 경우엔 http//yourdomain.com/blog/setup.php 을 입력하면 권한 문제로 아예 설치 페이지조차 뜨지 않기 때문이다. 설치도 되고 첨부파일이 없는 상태로 힘겹게 블로깅이 가능하면 페이지 상, 하단에 무지막지한 배너가 붙거나 팝업창이 항상 뜬다. 설치와 운영이 가능한 모든 환경을 찾았다 싶었는데, 자세히 보니 FTP가 지원되질 않는다. 7번과 같은 상황인데 가입하려고 하니 한국 IP는 BAN 당해있다.
앞서 말한 유형 외에도 해외에서는 GD나 Curl, Zend Optimizer 등 다양한 옵션을 하나하나 확인을 해야 합니다. 혹, 해외 무료 호스팅을 찾으시면서 텍스트큐브를 사용하길 원하신다면 아래 사항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개 사이트마다 포럼이나 FAQ, Contact Us 메뉴가 있으니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아니면 phpinfo()를 요청해도 되구요. 물론, 이 경우엔 역시 보안상의 문제로 안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fsockopen(), mod_rewrite 지원 여부 파일 확장자를 다양하게 지원하는 지 여부 사용자가 자유롭게 디렉토리나 파일에 CHMOD 권한을 줄 수 있는지 여부 강제로 광고가 삽입되는지, 된다면 어떤식(배너, 텍스트 링크, 팝업 등)으로 나타나는지 여부 홈페이지 사용에 있어서 특정 언어 제한(예를 들면, 영어로만 되어 있어야 한다)이 있는지 여부 해외 트래픽은 한달 단위이므로 30일로 나누어서 계산해 볼 것. 6GB라고 해봐야 하루 평균 200M 정도라는 것에 염두해야 된다.
결국 위와 같은 문제로 해외 무료 호스팅을 얻는 데는 실패했습니다. (>.<)/ 죽어라 찾아봤는데도 도저히 되는 곳이 없네요. 그래서 국내 무료 호스팅 중에 하나인 호스팅랜드에서 운영토록 했습니다. 방금 전까지 텍스트 큐브 운영의 유일한 희망이었던 6te.net 관리자와 채팅을 했는데, 역시나 답은 '돈주고 업그레이드 하라' 더군요.

같은 돈이면 해외에서는 국내 스펙의 2배 이상을 뽑아낼 수 있는 곳도 상당수 있습니다만, 전 그래도 국내 호스팅 업체가 좋네요. Instant Acativation에 질려 버린 것 같습니다. ('ㅇ')

P.S 해외 포럼은 대개의 경우 PHPBB나 vBulletin, PHPNUKE 등의 게시판인데요. 이게 가입은 쉬운데, 탈퇴 메뉴 자체가 없습니다. ('' )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거창한 정보를 기입하는 건 아닙니다. 아이디랑 비밀번호, 메일 주소 정도니까요.



파일 저장 목적이 아닌, 배포 목적으로 4Gb까지 제공해 주는 사이트를 우연찬게 찾았네요.

현재 베타 인 것 같기도 하지만, 파일 업로드되고 다운로드 되네요.

제가 1기가 영화 파일 올려서 영국 친구들한테 보라고 하니깐 잘 나온다고 하네요.

사이트 명은 www.ufreeus.com이고 가시면 그리드 방식으로 최대 4Gb까지 배포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번 방문해 보세요, 저도 올려서 친구들에게 파일 날려 주는데, 고화질 영화는 스트리밍으로도 되고, 일반 파일은 인터넷 다운로드 창으로 되고, 다운로드 받는 사람만 클라이언트를 까는데, 설명 보니깐, 이상한 것 같지는 않고요.

해외 친구들이 매우 좋아합니다.

가입도 간단하게 이메일 주소로 끝나고요.

짱입니다 짱!

이 사이트 운영자는 돈이 무지 많던가 아니면 제품 홍보를 하는건지, 하여간 고용량 파일 배포는 이 사이트가 현재까지 공짜로서는 최고네요.

강추합니다.

그리고 이 글은 절대 광고글 아닙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23. 19:58
1. 테이블 고정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table width=100px height=5px style="table-layout:fixed"> <tr> <td> <div style="width:100%;height:100%;overflow:auto;"> 여기 내용이 테이블 길이보다 길어지면 스크롤바가 생기게 됨. </div> </td> </tr> </table> <table width=100px height=5px style="table-layout:fixed"> <tr> <td> <div style="width:100%;height:100%;overflow:auto;"> 여기 내용이 테이블 길이보다 길어지면 스크롤바가 생기게 됨. </div> </td> </tr> </table>
2. td안의 텍스트 길이 고정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td height="auto" style="word-break:break-all"> 글자가 테이블길이만큼 쓰여지고 나머지는 다음줄에 이어서 쓰여짐. </td> <td height="auto" style="word-break:break-all"> 글자가 테이블길이만큼 쓰여지고 나머지는 다음줄에 이어서 쓰여짐. </td>

1. style="table-layout:fixed"

테이블의 크기를 가로세로 모두 고정시킴.

2. style="word-break:break-all;"

고정된 테이블에 긴 글을 넣을경우 가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글자가 잘려 보이는 경우가 발생.
이것을 방지하고 글의 자동 줄바꿈 효과

3. height="auto"

고정된 테이블의 세로때문에 글이 고정된 세로길이까지만 보인다.
이것을 방지하기위해 세로의 길이를 오토로 조정해줌
by Anna 안나 2008. 11. 23. 17:31
입력필요는 파란색/ ---------------------------------------**좌측(left) 엘리먼트Today , Total1312
투데이 옆 글씨 : color:#ff0000; font:verdana 9px;
토탈 옆 글씨 : color:##333333; font:verdana 9px;
좌측 Today is.. - 맑음
기쁨 앗싸 행복
뿌듯 즐거움 파이팅
황홀 설렘 사랑해
개운
그냥 외로움 쓸쓸
귀찮음 그리움 심심
답답 우울 슬픔
힘듦 짜증 바쁨
피곤 아픔
열받음 황당 떨림
불안 사용안함 - 쌀쌀
그냥 외로움 쓸쓸
귀찮음 그리움 심심
답답 우울 슬픔
힘듦 짜증 바쁨
피곤 아픔
열받음 황당 떨림
불안 사용안함 - 흐림
답답 우울 슬픔
힘듦 짜증 바쁨
피곤 아픔
열받음 황당 떨림
불안 사용안함 - 번개
열받음 황당 떨림
불안 사용안함
좌측사진/기본형 140X120 확장형 140X210
자기소개/ div #charLayer2 (#=id)
overflow:hidden; width:140px; height:13px; font-style:nomal; font:돋움 9pt; color:555555; text-align:left;
홈피주인 소갯말/ font:돋움,seoul,arial,verdana 12px;
파도타기/속성 나중에입력
**중앙(middle) 엘리먼트홈피제목/ font:돋움,seoul,arial,verdana 16px;
주소설정주인인경우 홈설정
주소 입력
중앙컨텐츠width:450px 아이프레임
**우측(right) 엘리먼트메뉴div #menu (#=id)
position:absolute; left:708px; top:114px; width:50px; z-index:1; font:돋움,Dotum,AppleGothic,sans-serif 12px;
우측 소 엘리먼트들width:150px;
로그인 전-후 비교로그인

로그아웃

비교

by Anna 안나 2008. 11. 23. 14:13
첫번째방법 iso 파일은 네로에서 이미지 레코더 → 이미지레코딩선택 →iso 파일 선택 →열기 → 레코딩 속도선택(4~8배속) → 굽기 ← 이렇게 하시면 iso파일을 시디로 만들수 있습니다, iso파일을 구우실때는 시디롬선택이 아니고 이미지 레코딩 하셔서 iso파일 불러오셔서 구우셔야 합니다 iso 파일을 구우실려면 'Image Recorder' ←이런문구가 나오는것은 당연한것입니다 네로에서는 iso파일을불러다 그냥 구울수 있습니다 두번째방법 알콜120% ← 이프로구하셔서 가상시디롬 만드셔가지고 iso파일불러다가 네로실행 하시고 cd대cd복사 하세요 원본cd는 알코올120%가상 시디롬이고 구우실cd는 실제시디롬입니다 UltraIso 이프로그램도 iso파일불러와서 시디만들수 있습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23. 13:43
CD를 굽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쓰기 MODE로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DAO(DISC AT ONCE)와 TAO(TRACK AT ONE) 라는 방식이 있습니다.

DAO 는 공CD-R 자체를 중간에 TRACK의 끊어짐 없이 한번에 구워내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TAO 는 TRACK 단위로 잘라서 CD를 굽는것입니다.

정품으로 판매하는 음악 CD는 공장에서 프레스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굳이
DAO/TAO를 구분지을 필요가 없지만 일반인이 자신만의 음악 CD를 만들 경우에는
저 두가지중 한가지로 버닝을 하셔야 합니다.

음악시디를 만드실때 한번에 다 굽지 않고 계속 추가를 해서 구우시겠다면
TAO MODE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방식은 TRACK 단위로 굽기 때문에 노래 한 곡당 TRACK이 한개씩 생성 됩니다.

그리고 DAO 모드로 할경우에는 공CD 한개를 전부 다 쓰기 때문에 용량이
남아도 더이상 쓰기가 불가능합니다.

TAO 단점은 DAO 보다 레코딩을 하게 되면 TRACK당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가
별도로 TRACK 끝에 위치하기 때문에 DAO 로 같은 용량의 DATA를 굽는 경우
크기가 더 커집니다.

TAO 장점은 DAO 보다 자기가 원하는 때에 추가해서 더 버닝 할수있다는
것입니다.

DAO 장점은 TAO 보다 크기가 더 작아지며 "지터"라는 음악CD를 구울때 나오는
노이즈가 조금 덜하며 단점은 추가로 더이상 구울수 없다는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질문자께서 네로버닝롬을 이용해서 음악 CD를 구우실경우 한번에
CD용량 만큼 구우실거면 DAO 를 계속 추가해서 구우실경우라면 TAO 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레코딩할때 네로에서 옵션 창을 보시면 DAO/TAO 가 옵션으로 나오기 때문에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나중에 TAO 모드로 구워진 CD를 넣으면 네로에서 자동으로 인식한후
추가로 더 쓰기 할것인지 물어봅니다.

마지막으로 TAO 를 끝낸후 CD 닫기 를 할것인지 네로에서 물어볼경우가
있을겁니다.

이경우는 CD 용량이 다되어서 더이상 TAO 로 추가할수 없을경우에 물어보는데
이때는 YES 를 눌러 CD를 닫아 버리시면 됩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23. 01:54
3월 11일수정
어떤분이 언어 파일이 빠진것같다고 하여 그게아니라고 답변하고 생각을 해보니 common/lang/ko.lang.php 파일을 수정한 것을 올리지 않았더군요 죄송합니다. 언어 파일을 포함하여 다시 올렸구요. 확장변수에 주소폼(똑띠님의팁)을 추가하여 보았습니다 언어파일을 적용하지 않으면 이미지 삽입, 및 라디오버튼이 확장변수에 나타나지 않았을텐데 죄송합니다.
3월 9일 본문
본문 삽입이 필요없는 확장 변수로만 글을 작성 하고자 할때 본문 작성 에디터가 거추장 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방법중 모듈에 소스를 추가하는 방법과 기본스킨에 소스를 추가 하는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는 최소한의 기본스킨 변형으로 가능한 방법을 소개 합니다. 소스를 적용하시면 확장변수에 라디오 버튼은 "똑띠님"의 소스가 포함 되었으며, 기본 기능에서 본문작성 작성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면 미리보기가 지원 되는데 이미지를 클릭 하면 게시글의 위치가 복사 되는 소스는 "WOOYA님"의 소스가 적용 되었음을 미리 밝혀 드립니다. 첨부된 파일은 기본 모듈 스킨(게시판, 에디터)중 바뀐 부분만 골라서 올린것 이므로 반드시 덮어 쓰셔야 합니다. zbxe.zip 위의 파일을 덮어 쓰신후 아래의 과정을 거치셔야 합니다. 1.게시판설정>스킨관리>본문쓰기 허락에서 "N"을 선택 하시고.
만일 웹진형 스타일에서 썸네일 클릭시 해당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하게 하시려면 기본형태를 "link"로 선택하세요.
"link" 스타일 적용시 확장 변수에서 확장변수1은 반드시 홈페이지 형식이어야하고. 확장변수2는 "textarea"영역으로 지정하여 소개글을 올리 도록 하여 목록 에 나타 나게 하였습니다. 이외의 확장 변수는 임의 대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IMAGE-------)) 2. 게시판설정>추가설정>에디터스킨에서 "only_upload"를 선택 하세요. ((-------IMAGE-------)) 3. 게시판 설정>게시판정보>수정에가서 확장변수의 형식을 눌러 보시면 그림 삽입과 단일 선택으로 라디오 버튼이 추가 된것을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4.확장변수를 그림 삽입으로 선택하시고 본문작성을 하시면 확장변수에 그림을 삽입하는 형태가 확장 변수에서 직접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여 계정에 저장하는 기능이 아니고 단지 이미지 파일을 링크시키는 형태입니다.
이에 본문의 "파일 첨부"에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하면 미리보기 창에 그림이 나타 나는데 이그림을 클릭하시면 파일의 주소가 복사 됩니다. 이 복사된 내용을 아래의 홈페이지 스크린 샷 박스에 붙여 넣기를 하시면 됩니다. ((-------IMAGE-------)) <<참고>> 글쓰기 폼에서 위와 같은 폼은 예를 든 화면으로 확장변수의 지정은 사용자 스스로 하셔야 합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16. 20:48
Planning 2

#1. 브라우저간 접근성 테스트

((-------IMAGE-------))Planning 1에서 설명했던 부분들을 통해 유효성 검사에 통과했다면 다음은 Acessibility에 대한 부분입니다. 웹 접근성이란 아시다시피 다수의 웹 브라우저에서 얼마만큼 동일한 Look이 보여지느냐 입니다. 대부분 이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일 CSS 파일에 언더바 Hack등을 사용해서 일괄처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효성 검사에서는 이 부분을 에러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에러 없이 접근성을 높게 유지시키려면 몇개의 CSS 파일을 추가로 이용해야 합니다.

주석문을 통해 5종류의 메이져급 브라우저의 접근성을 통제하는데, 기본적으로 FireFox에서 작업하고 1차 테스트는 IE 7, 2차 테스트는 Opera, Safari, 마지막으로 IE6순으로 진행합니다. 이미 알려진 브라우저간 호환성 문제들, 예를들면 IE6의 3px 마진이나 FireFox의 Float 부유 우선순위 무시등을 일일이 인지하고 호환성 작업을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순서로 작업하면서 보여지는 부분들을 하나하나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FireFox에서 제작한 레이아웃을 IE 7에서 테스트 한다. 차이가 나는 부분을 수정한다.

Opera와 Safari를 테스트한다. 차이가 나는 부분을 수정한다. Opera와 Safari는 FireFox 계열과 렌더링 방식이 비슷하기 때문에 FireFox에서 잡은 레이아웃은 거의 동일하게 보여진다.

IE 6에서 테스트한다. IE 6는 IE 7과 렌더링 방식이 비슷하지만 다른 브라우저와 달리 독자적인 버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위 3개의 브라우저에서 버그를 잡았다면 IE 6에서도 대부분 비슷한 렌더링을 보여준다. 하나의 컴퓨터에 IE 7과 6을 동시에 설치하여 테스트하려면 여기를 참조한다.

#2. 주석문을 이용한 추가 CSS 운용
위의 순서로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로보드 XE에 주석문을 삽입하고 IE 7과 IE 6에 대응하는 별도의 CSS 파일을 정의해 주어야합니다. /common/tpl/common_layout,html의 head 태그 맨 마지막에 아래와 같이 주석문을 넣습니다.

/common/tpl/common_layout.htmlIE 브라우저 대응 CSS 파일의 추가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if IE]> <link rel="stylesheet" href="/layouts/WTA/css/IE_default.css" type="text/css"> <link rel="stylesheet" href="/modules/board/skins/WTA/css/IE_common.css" type="text/css"> <![endif]--> <!--[if lte IE 6]> <link rel="stylesheet" href="/layouts/WTA/css/IE6_default.css" type="text/css"> <link rel="stylesheet" href="/modules/board/skins/WTA/css/IE6_common.css" type="text/css"> <![endif]--> <!--[if IE]> <link rel="stylesheet" href="/layouts/WTA/css/IE_default.css" type="text/css"> <link rel="stylesheet" href="/modules/board/skins/WTA/css/IE_common.css" type="text/css"> <![endif]--> <!--[if lte IE 6]> <link rel="stylesheet" href="/layouts/WTA/css/IE6_default.css" type="text/css"> <link rel="stylesheet" href="/modules/board/skins/WTA/css/IE6_common.css" type="text/css"> <![endif]-->
if IE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전체 버전에 대응하는 대 IE용 CSS 파일입니다. 여기에는 IE 7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쉽게는 IE 7용으로 보아도 좋습니다. 접속자의 브라우저가 인터넷 익스플로러인 경우 이 스크립트가 작동되어 기본으로 사용하는 CSS 대신 이 구문에 정의된 CSS 파일을 읽어들입니다. 따라서 위 구문대로라면 레이아웃 스킨의 default.css 대신 IE_default.css가 읽어지고 보드 스킨의 common.css대신 IE_common.css가 읽혀집니다.

if lte IE 6 구문에서는 IE 중에서도 버전 6의 브라우저로 접속한 경우 읽혀집니다. 이 역시 기본으로 정의된 css 대신 새로 정의된 IE 6 전용 CSS가 읽혀집니다. 위의 두 구문을 사용하면 처음 구문에서는 IE7과 IE6 모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CSS를 먼저 인식시키고, 아래 IE6 전용 구문에서는 마지막으로 IE6의 문제점만 따로 처리하므로 IE에 대한 대응은 거의 완벽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본으로 정의 된 default.css는 FireFox, Opera, Safari용으로, 따로 정의 CSS는 IE 전용으로 대응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3. CSS 작성요령
추가로 정의 된 IE용 CSS 파일은, 기본 default.css에서 바뀌어야 할 부분만 정의하면 됩니다. deafult.css의 내용을 모두 복사해서 새로 만들어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변경할 클래스나 셀렉터만 기재해서 저장하면 됩니다. 예를들면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고 여기서 padding-bottom:10px로 정의된 부분이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제대로 보이는데 IE에서만 너무 하단 여백이 넓어진다고 치면(마진 3px 버그 발생)

/layouts/스킨폴더명/css/default.css기본 정의된 CSS 파일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halfbar .customListLink ul {padding-bottom:10px; padding-top:10px} .halfbar .customListLink li {font: 8pt 돋움;letter-spacing: -1px; line-height: 150%; list-style:none; padding-bottom: 10px;} .halfbar .customListLink li a {text-decoration:none;} .halfbar .customListLink ul {padding-bottom:10px; padding-top:10px} .halfbar .customListLink li {font: 8pt 돋움;letter-spacing: -1px; line-height: 150%; list-style:none; padding-bottom: 10px;} .halfbar .customListLink li a {text-decoration:none;}
아래와 같이 문제의 클래스와 셀렉터만 기재해서 아래와 같이 넣어주고 저장하면 됩니다.

/layouts/스킨폴더명/css/IE_default.css변경 된 부분만 적용된 추가 CSS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halfbar .customListLink ul {padding-bottom:7px;} .halfbar .customListLink ul {padding-bottom:7px;}
CSS는 먼저 default.css에서 정의된 부분을 읽고 난 후, 접속자의 브라우저가 IE6면 default.css에는 없거나 수정된 부분만을 IE_default.css에서 불러옵니다. 따라서 기본 CSS 파일에서 IE에 어긋나는 구문만 옮겨와서 추가 CSS에 넣어주면 됩니다. 이렇듯 Planning 1과 2에서 다룬 웹 표준 유효성 통과와 브라우저 접근성 부분은 기획 초반에 잡아두면 거의 끝까지 유지/관리 할 수 있는 반면, 처음에 무시하고 시작하면 중간에 바로잡기가 무척 힘듭니다.

유효성과 접근성 부분, 귀찮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초반에 사이트 작성할 때 한번만 바로 잡아 놓으면 된다는 점 기억해 주세요.
by Anna 안나 2008. 11. 16. 20:23
안녕하세요 hammer입니다. 이번에 제로보드로 만든 사이트 링크 겔러리가 대강 모습을 갖춰서 몇가지 팁들을 공유합니다. 이전에 블로그 스킨인 Xesta때 느낀 것이지만 스킨 제작은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대 반해 새로운 기술들의 도입에 대해 유지관리가 어려워서 앞으로는 팁 공유쪽에 노력을 할애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내용은 사이트 링크 겔러리에 어울리는 팁들이 많지만 일반적인 사이트의 구성에도 필요하거나 유용한 것들이니 나름대로 참고하시면 좀 더 완성도 있는 사이트를 만드시는데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팁의 예제로 사용되는 사이트는 WTA(Web Trend Awards)입니다. 이 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픈소스 플러그인이나 제로보드 팁들을 차근차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어드바이스의 첫 부분인 Planning과 같은 부분은 내용이 다소 난해 할 수도 있습니다. 어느 특정 기능의 상세설명보다는 표준 인프라에 관한 내용이라 그럴 수 있으나 이후에 작성 할 세세한 기능성 팁들은 훨씬 이해하기 쉽게 쓰겠습니다.


Planning 1

#1. Generator와 Javascript Library 인스톨
Generator로는 당연히 제로보드 XE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것을 설치합니다. 팁이나 애드온에 보면 제로보드가 설치된 폴더의 이름을 없애고 도메인 루트로 이동하는 내용들에 대해 여러가지 있는데, Wordpress처 럼 Rewrite 모드에서 퍼머링크 설정하는 부분에 대해 제로보드에서는 아직 정식 메뉴얼로 나와있는 내용이 없기 때문에 WTA에서는 최상위 루트에 그대로 ZBXE를 설치했습니다. 이렇게 최상위 루트에 제로보드의 여러 폴더들이 설치되는것이 싫다면 다른 팁들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Javascript Library는 크게 Jquery와 Prototype 둘 중 어느것을 선택 할지 결정하면 됩니다. 그밖에도 여러가지 라이브러리들이 있지만 WTA에서는 Jquery를 선택했습니다. 특별한 이유는 없고 단지 원하는 기능들을 찾을때 Prototype보다는 Jquery에서 원하는 소스들이 더 많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가장 최신의 Jquery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합니다. 이때 라이브러리를 레이아웃 스킨에 넣을지 보드 스킨에 넣을지 판단하세요. 단일 스킨을 지속적으로 사용 할 생각이고 사이트 전체적으로 Jquery가 사용되고 싶다면 Layout 스킨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특정 보드 스킨에서만 작동하던가 혹은 Jquery와 Prototype을 번갈아 가면서 스킨에 맞게 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보드 스킨에 넣으세요. Jquery와 Prototype은 동시에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아웃 스킨에 동시에 넣게되면 충돌이 일어납니다. WTA에서는 스킨을 막론하고 사이트 전체적으로 Jquery가 동작하길 바랬기 때문에 레이아웃 스킨에 Jquery를 설치했고 보드에는 아무런 라이브러리도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레이아웃 스킨에 Jquery를 설치하려면 아래와 같이 코드를 넣어주세요. xe_official.js는 기존에 있던 부분입니다. 그 밑에 추가가 됩니다.

zbxe/layouts/스킨폴더명/layout.html레이아웃 스킨에 Jquery를 설치합니다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 js 파일 import --> <!--%import("js/xe_official.js")--> <!--%import("js/jquery.js")--> <!-- js 파일 import --> <!--%import("js/xe_official.js")--> <!--%import("js/jquery.js")-->
#2. W3C Markup & CSS 유효성 통과를 위한 커스터마이징
((-------IMAGE-------)) 혹시 이 글을 보시는 분이 유효성 검사에 대해 완벽주의자라면 제로보드 기본 파일에서 몇가지 수정이 필요합니다. 아시다시피 제로보드는 기본적으로 웹 표준을 아주 잘 지키고 있고 CSS에서 에러가 나는 부분도 브라우저 접근성 때문에 필요악으로 생긴 Hack 부분에 한합니다. 하지만 이것마저도 눈에 거슬린다면 아래의 지침을 따라보세요. 만일 CSS Validator나 Markup Validator에서 "축하합니다! 이 페이지는 유효성을 통과한 검증된 페이지입니다!"라는 메세지 따윈 신경쓰지 않는다면 이 파트는 읽지않고 그냥 넘어가세요.

기 본적으로 CSS Validaotr에서 여러분의 제로보드 페이지를 검사했을 때 검출되는 에러에 해당되는 부분들(button.css라던가 iePngFix와 같은 부분)은 모두 CSS 파일에서 삭제해도 제로보드 작동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button.css의 경우에는 제로보드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버튼들을 라운드 형식으로 예쁘게 꾸민 CSS 파일입니다. 이 파일에는 IE, Firefox, Opera, Safari등과 같은 메이져 브라우저들에 대해 동일한 Look이 보여질 수 있도록 접근성용 Hack 부분을 설정해 놓았는데, 이러한 Hack이 유효성 검사기에서 에러를 냅니다.

한가 지 분명히 알고 넘어갈 것은, Hack을 쓰지 않고도 모든 메이져급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접근성을 유지 시키는 방법은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유저가 직접 추가적인 CSS를 작성해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로보드에서는 편의를 위해 하나의 CSS에서 해결하고 있는 것 입니다. 만일 애드온 자료실의 ButtonChange와 같은 좋은 애드온등의 사용을 포기하면서까지 유효성을 지키고 싶다면 button.css의 CSS 에러 구문을 모두 삭제하십시오. 이것을 삭제하므로 해서 여러분은 무척 귀찮은 작업들을 해야만 합니다. 제로보드 전반에 걸쳐 이 파일의 셀렉터로 사용되고 있는 button이라는 클래스를 모두 별도의 클래스로 바꾸어 지정하던가 혹은 /common/css/button.css를 직접 수정해서 일괄적으로 사용 할 버튼을 만들어야 합니다.

button.css에서 에러를 발생시키는 CSS 에러구문을 모두 없애면서 제로보드 페이지 전반적으로 동일 한 Look의 버튼을 사용하고 싶다면 직접 button.css 파일을 수정해서 하세요. WTA의 경우는 때에 따라 서로 모양이 다른 버튼을 써야 할 때가 있기 때문에 button.css 파일은 단순한 모양을 지닌 Dummy 파일로만 사용하고 HTML 페이지에 정의된 ,button 클래스명을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WTA에서 사용하는 Dummy 파일이 필요하다면 button.zip을 다운받으세요. 이 CSS 파일은 모든 CSS 에러구문이 삭제되고 기존의 버튼을 회색의 단조로운 버튼으로 바꿉니다. 관리자 페이지등에서도 이 버튼이 나타나게되고 제가 깔끔하게 다듬지 않아 모양이 좋지 않습니다. 어차피 관리자 페이지는 자신만 보는 것이므로 이와같이 더미 버튼을 사용하고, 방문자들이 보게 될 부분의 버튼들은 각 HTML 파일의 .button 클래스를 여러분이 새로 지정한 버튼 모양의 클래스로 변경하세요.

이런 일련의 작업들이 너무나도 귀찮고 번거롭다면 유효성 검사에 뜻을 두지 마시고 그냥 사용하세요.

/common /css/default.css에서도 에러 구문이 있습니다. CSS Validator에서 보여주는 에러 구문들을 찾아 모두 삭제하면 PNG 투명 이미지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Jquery 기반에서 동작하는 PNG-Transparency for Windows IE 5.5 & 6을 사용해서 CSS 에러 없이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이 PNG 핵은 웹사이트 전체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니 common 파트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common/js폴더에 넣은 후 common/tpl/common_layout.html에 아래와 같이 추가하세요. 아래의 코드에서 추가되는 구문은 9번째 줄 이 한줄 입니다.

/common/tpl/common_layout.htmlCSS 에러가 없는 PNG 핵을 설치합니다 view plaincopy to clipboardprint? <meta http-equiv="imagetoolbar" content="no" /> <title>{Context::getBrowserTitle()}</title> {@ $js_files = Context::getJsFile() } <!--@foreach($js_files as $key => $js_file)--> <!--@if($js_file['targetie'])--> <!--[if {$js_file['targetie']}]> <!--@end-->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js_file['file']}"></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common/js/jquery.pngFix.js"></script> <!--@if($js_file['targetie'])--> <![endif]--> <!--@end--> <!--@end--> <meta http-equiv="imagetoolbar" content="no" /> <title>{Context::getBrowserTitle()}</title> {@ $js_files = Context::getJsFile() } <!--@foreach($js_files as $key => $js_file)--> <!--@if($js_file['targetie'])--> <!--[if {$js_file['targetie']}]> <!--@end-->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js_file['file']}"></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common/js/jquery.pngFix.js"></script> <!--@if($js_file['targetie'])--> <![endif]--> <!--@end--> <!--@end-->
button.css 와 default.css 그리고 common_layout.html 파일 3가지의 파일을 수정함으로해서 여러분은 제로보드 XE에서 발생하는 모든 CSS 에러 구문을 없애고 유효성 검사에 통과하면서도 기존과 동일한 브라우저 접근성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위의 내용들이 조금 난해할수도 있습니다. 각자의 작업중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따로 알려주시면 이곳에서 함께 처리 하는 것으로 하고 기초 Planning에 대한 부분은 여기까지만 적겠습니다.

다음에는 웹 브라우저 접근성을 위한 CSS 분리 관리를 시작으로 Planning의 다음 부분 이야기 해드리겠습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16. 20:22
이것저것 스크랩북에 쌓였던 이주의 웹서비스 목록입니다.. ^^;
WizHelp 편리한 원격제어 서비스입니다. 자바만 설치되어 있으면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바로 인터넷으로 구동되는데요. 이메일로 초대장 보내고 응답 하면 공유가 시작됩니다. 물론 회원가입 필요. ((-------IMAGE-------))
dabbleBoard 다 이어그램이나 모형 이미지를 만들때 아주 좋은 서비스입니다. 삐뚤삐뚤 그려도 자동으로 다듬어 주고 다른 사람을 초청해 같이 작업 하거나 Public Library의 이미지를 바로 가져와서 쓸 수도 있습니다. 한글 지원이 약점이긴 한데 외부로부터 텍스트를 복사하면 입력이 되네요. ((-------IMAGE-------))
PipeBytes 대용량 파일 전송 서비스. 파일 크기 제한이 없습니다. ((-------IMAGE-------))
Anonymous Email Boxes 한번 사용하고 버릴 makemetheking.com 메일주소를 바로 만들수 있습니다. 먼저 주소를 만들 필요도 없이 일단 만들어서 주고 나중에 체크하러 와도 되네요. ((-------IMAGE-------))
Search.io 다수의 검색엔진을 카테고리별로 잘 정리해 놨습니다. 단축키도 지원하네요. ((-------IMAGE-------))
DualPage 두개의 웹사이트를 동시에 서핑 할 수 있습니다.. ^^; ((-------IMAGE-------))
btReAnnounceR 토렌트 받다가 시드가 부족하거나 트래커와의 연결이 끊긴경우 토렌트 메타파일을 업로드해 관련된 시드와 트래커를 추가로 찾아줍니다. 희귀 파일 구하다가 끊긴 경우 유용하겠네요. ((-------IMAGE-------))
Scrumy 포스트잇 같은 노트를 붙여 단계별로 할 일을 관리합니다. 회원가입 필요 없이 scrumy.com/주소 형식으로 원하는 주소를 만들어 그냥 사용하면 됩니다. ((-------IMAGE-------))
WiziQ 오디오/비디오 지원에 다양한 기능의 화이트 보드가 인상적인 무료 이러닝 솔루션입니다. 파워포인트 파일을 직접 불러와서 같이 볼 수도 있고 모눈종이와 각종 도형그리기, 그리고 수학툴바까지.. 정말 대단한데요..ㅎ ((-------IMAGE-------))
jottit 일 회용으로 급하게 웹사이트 만들때 유용할듯 합니다. 웹페이지를 출판하면 회원가입 없이 랜덤주소로 만들어주고, 나중에 필요에 따라 비밀번호 넣고 자기주소로 요청하면 됩니다. 다중 페이지와 편집 히스토리를 지원하고 간단한 템플릿 디자인도 적용 할 수 있네요. ((-------IMAGE-------))
tastekid 음악/영화 추천 서비스. 좋아하는 가수나 노래제목을 입력하면 비슷하거나 관련된 아티스트를 추천해 주고 유튜브로 맛볼수 있네요. 영화와 책도 마찬가지 입니다. ((-------IMAGE-------))
Fox ? Volkswagen 폭스바겐 자동차의 홍보사이트인데 플랫카드를 이용한 플래시 아이디어가 남다르군요.. 로딩시간의 압박이 좀 있습니다..^^; ((-------IMAGE-------))
by Anna 안나 2008. 11. 16. 20:09
이번에 사이트를 개편하면서, 탭 메뉴로 구성된 추천 글 목록을 추가했습니다. 제 사이트의 방문자 통계를 확인하니, 방문자들의 이동 경로가 1개의 글만 읽고 사이트를 떠나거나,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등 무척 기초적인 수준의 이용만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기 때문입니다. 블로그의 글이 360개임에도 불구하고 1~2개 글만 보고 떠나는 걸 방치할 수 없었기에 추가한 콘텐츠입니다. 웹 사이트에서 탭 메뉴를 구현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Javascript의 onClick 이벤트를 이용하여, style의 display 속성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때 보통은 HTML a 태그에 Javascript를 직접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때문에 이 방법은 구조적인 HTML 마크업과 거리가 멀이질 수 밖에 없죠. 즉, 웹 표준에 어긋난는 방법입니다. 또한 마우스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onClick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없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해당 컨텐츠에 접근하기도 어렵습니다. 제 사이트는 Javascript library로 JQuery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JQuery는 파이어폭스나 워드프레스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 예전에 몇몇 글에서 밝혔듯이, 무척 작고 효율적이며, 다양한 기능 외에도 플러그인이 많은 라이브러리죠. 특히 JQuery의 $(document).ready는 DOM의 고질적인 문제인 브라우저의 늦은 랜더링을 해결할 수 있답니다. 탭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 구성 저는 사이트 방문객이 좀 더 머무르면서 다양한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탭 메뉴로 구성된 콘텐츠를 제공하고 싶었습니다. ((-------IMAGE-------)) HTML로 콘텐츠 구조화 탭 메뉴를 책의 목차(Table Of Contents) 형식으로 구성했습니다. 현재의 HTML과 XHTML 스펙에서 가장 구조적인 방법이죠. 물론 앞으로 HTML 5가 채택되어 nav 요소를 사용할 수 있기 전까지 입니다.

CSS로 콘텐츠 시각화 CSS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float 속성을 사용하여 탭 메뉴를 가로로 배치한 점 외에는 특별히 고급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IE가 비순차적 목록(ol)의 상단 마진를 다르게 출력하는 버그 때문에, 2줄의 CSS가 추가됐습니다.

body {
margin:0; padding:0;
font: .75em/1.5 "AppleGothic", "Malgun Gothic", dotum, sans-serif;
}
a { color:#369; font-weight:bold;}
#readMore02 {
position:absolute; top:50%; left:50%;
width:350px;
margin:-120px 0 0 -180px;
border:1px solid #ccc;
}
#readMore02 h2,
#readMore02 h3 { display:none; }
#readMore02 ul {
margin:0; padding:5px 0 0 2px;
height:26px;
border-bottom:1px solid #ccc;
background:#eee;
}
#readMore02 ul li {
list-style:none;
float:left;
margin:0 0 0 3px; padding:0;
position:relative; top:1px;
}
#readMore02 ul li a {
display:block;
padding:.25em .75em;
border:1px solid #ccc;
line-height:1.5; text-decoration:none;
background:#aaa; color:#fff;
}
#readMore02 ul li a:hover,
#readMore02 ul li a:focus,
#readMore02 ul li.tabs-selected a {
border-bottom:1px solid #fff;
background:#fff; color:#f60;
}
#readMore02 div {clear:left;padding-top:1em;} /* IE6 마진 버그 */
#readMore02 div.tabs-selected { display:block; }
#readMore02 div.tabs-hide { display:none; }
#readMore02 ol { margin-top:0; } /* IE6 마진 버그 */
#readMore02 ol li { line-height:2; } JQuery로 콘텐츠 동적 구현 JQuery와 tabs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탭 메뉴를 동적으로 구현했습니다. 플러그인에서 지원하는 페이드 효과를 이용하니 훨씬 보기 좋은 탭 메뉴가 구현됐습니다.이 글이 저처럼 블로그에 많은 글을 작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전에 작성한 글이 방문객에게 좀처럼 노출되지 않는 문제로 고민하던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16. 20:07
워드프레스를 사용하면서, CSS + XHTML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드림위버에서 Topstyle pro로 main 에디터를 바꿨다. 드림위버는 나무랄 데 없는 최고의 웹에디터이지만, 엄청난 파일크기로 인해 프로그램 로딩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내 컴퓨터는 팬4 3.0G에 1024mb 램을 장착하고 있지만,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가 이미 상주하면서 잡아먹는 메모리가 있기 때문에 좀 더 단순한 웹에디터를 찾게 됐다. ((-------IMAGE-------)) Topstyle을 1주일 정도 사용해보면서 느낀 점은 워드프레스의 테마 수정이나 간단한 CSS + XHTML 예제 파일을 만드는데 최적화 된 프로그램이라는 것이다. 인터넷 익스플러와 파이어 폭스의 2대 브라우저를 한꺼번에 미리보기 할 수 있는 기능은 CSS 코딩을 할때 무척 유용하다. 사실 IE의 CSS를 제대로 랜더링하지 못하는 문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 기능이 main 웹에디터를 옮기게 한 주원인이다.
또한 CSS 코드를 자동 정렬 및 배치해주는 기능 역시 환상적이다. 이 기능에 중독되게 되면 드림위버를 동네 애물단지 취급하게 될지도 모른다. 단, 이 프로그램은 드림위버의 이지윅 기능이 없어서 일정부분 핸드코딩을 해야 한다. 때문에 기초적인 코딩 지식을 요구한다. 하지만, 기초적인 HTML, XHTML, CSS에 대한 공부는 웹개발이나 디자인에 있어서 더욱 필요한 부분이다. 이지윅 웹에디터에 익숙해지는 그 순간 웹페이지 제작을 머리가 아닌 눈으로 시작하게 되기 때문이다. 웹페이지를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사고가 바로 올바른 XHTML + CSS 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by Anna 안나 2008. 11. 16. 19:55
나는 워드프레스에서 새글을 작성할 때 Blockquote(인용문)이라는 빠른태그를 자주 사용하는 편이다. 웹서핑을 하다보면, blockquote에 스타일쉿을 사용하여 예쁘게 꾸며논 블로그나 게시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나 역시 박스 형식의 스타일쉿을 사용하곤 했는데, Dmitri Von Klein의 블로그를 보고 따옴표로 바꿔봤다. BLOCKQUOTE 요소는 인용한 단락을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 BLOCKQUOTE는 Q 요소와는 달리 P나 TABLE과 같은 블록 요소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LOCKQUOTE 요소는 문단이나 인라인 요소 안에 포함될 수 없습니다. 출처 : HTML 사전 문제는 LikeJazz님의 글처럼 p 태그가 2개 이상 사용된 blockquote에서는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다. 이는 출처 부분의 p 태그에 클래스를 하나 더 삽입해서 해결해야 한다. 사실, CSS2의 :after, :befere를 사용하면 이런 꽁수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익스플러가 이를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이 복잡하게 꼬이는 것이다.

blockquote {
background: URL(/blog/wp-content/themes/Blix/images/spring_flavour/bq-bg-b.gif) no-repeat;
margin: 10px 10px;
padding: 5px 0 0 30px;
}
blockquote p {
background: URL(/blog/wp-content/themes/Blix/images/spring_flavour/bq-bg-a.gif) no-repeat right bottom;
margin: 5px;
padding: 0 30px 5px 0;
이 글의 스타일쉿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by Anna 안나 2008. 11. 16. 19:53
Rated-R님의 글에도 소개된 것처럼, CSS 사용할때 단축 속성을 사용하면 코드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CSS의 모든 속성에 shorthand properties(단축 속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아래의 몇몇 속성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font 단축 속성
구문 : { font: font-style | font-variant | font-weight | font-size | line-height | font-family }
예제 : { font: 0.75em/1.4em 돋음, san-serif; } margin 단축 속성
구문 : { margin: margin-top | margin-right | margin-bottom | margin-left }
예제 : { margin: 1em 2em 3em 4em; } padding 단축 속성
구문 : { padding: padding-top | padding-right | padding-bottom | padding-left }
예제 : { padding: 1em 2em 3em 4em; } border 단축 속성
구문 : { border: border-width | border-style | color }
예제 : { border: 1px dotted #123456; } border-top, border-right, border-botoom, border-left 단축 속성
구문 : { border-top: border-width | border-style | color }
예제 : { border-top: 1px dotted #123456; } list-style 단축 속성
구문 : { list-style: list-style-type | list-style-position | list-style-image }
예제 : { list-style: URL(”hooney.gif”) inside disc; } background 단축 속성
구문 : { background: background-color | background-image | background-repeat | background-attachment | background-position }
예제 : {background: #123456 URL(”hooney.net”) no-repeat center left; } 위의 단축속성의 구문은 순서가 바껴도 IE6, FF1, NN7 등 대부분의 최근 브라우저에서 자동으로 해석해 주지만, 구식 브라우저(NN4, IE5 등)의 경우 바르게 표현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가급적 단축속성 구문을 지켜야 한다.
단, margin과 padding의 CSS 단축속성의 구문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위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톱 스타일(top style)과 같은 CSS 전문 프로그램에서는 자동으로 단축속성을 정리해주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by Anna 안나 2008. 11. 16. 19:50
웹 브라우저마다 각각 default CSS가 존재합니다. cascade한 CSS의 특성상, 제작자가 작성한 CSS도 브라우저의 디폴트 CSS의 영향을 받습니다. 웹 사이트가 브라우저마다 조금씩 다르게(경우에 따라 심각하게) 표현되는 이유가 바로 default CSS 때문입니다. ((-------IMAGE-------)) W3C에서 예제로 보여준 default CSS와 파이어폭스(FireFox)의 default CSS, 그리고 Quirks 모드에서 default CSS를 비교함으로써, 다양한 브라우저들의 default CSS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windows 환경에서 IE와 Opera, Safari는 dll 파일 형식으로 작성되어 확인하기 어렵네요. default CSS의 위치/경로 W3C의 default CSS - http://www.w3.org/TR/CSS21/sample.html 파이어폭스의 default CSS - C:\Program Files\Mozilla Firefox\res\HTML.css (windows xp) 파이어폭스의 Quirks 모드에서 default CSS - C:\Program Files\Mozilla Firefox\res\quirks.css (windows xp) W3C의 default CSS
HTML, address, blockquote, body, dd, div, dl, dt, fieldset, form, frame, frameset, h1, h2, h3, h4, h5, h6, noframes, ol, p, ul, center, dir, hr, menu, pre { display: block }
li { display: list-item }
head { display: none }
table { display: table }
tr { display: table-row }
thead { display: table-header-group }
tbody { display: table-row-group }
tfoot { display: table-footer-group }
col { display: table-column }
colgroup { display: table-column-group }
td, th { display: table-cell }
caption { display: table-caption }
th { font-weight: bolder; text-align: center }
caption { text-align: center }
body { margin: 8px }
h1 { font-size: 2em; margin: .67em 0 }
h2 { font-size: 1.5em; margin: .75em 0 }
h3 { font-size: 1.17em; margin: .83em 0 }
h4, p, blockquote, ul, fieldset, form, ol, dl, dir, menu { margin: 1.12em 0 }
h5 { font-size: .83em; margin: 1.5em 0 }
h6 { font-size: .75em; margin: 1.67em 0 }
h1, h2, h3, h4, h5, h6, b, strong { font-weight: bolder }
blockquote { margin-left: 40px; margin-right: 40px }
i, cite, em, var, address { font-style: italic }
pre, tt, code, kbd, samp { font-family: monospace }
pre { white-space: pre }
button, textarea, input, select { display: inline-block }
big { font-size: 1.17em }
small, sub, sup { font-size: .83em }
sub { vertical-align: sub }
sup { vertical-align: super }
table { border-spacing: 2px; }
thead, tbody, tfoot { vertical-align: middle }
td, th { vertical-align: inherit }
s, strike, del { text-decoration: line-through }
hr { border: 1px inset }
ol, ul, dir, menu, dd { margin-left: 40px }
ol { list-style-type: decimal }
ol ul, ul ol, ul ul, ol ol { margin-top: 0; margin-bottom: 0 }
u, ins { text-decoration: underline }
br:before { content: "\A" }
:before, :after { white-space: pre-line }
center { text-align: center }
:link, :visited { text-decoration: underline }
:focus { outline: thin dotted invert }
/* Begin bidirectionality settings (do not change) */
BDO[DIR="ltr"] { direction: ltr; unicode-bidi: bidi-override }
BDO[DIR="rtl"] { direction: rtl; unicode-bidi: bidi-override }
*[DIR="ltr"] { direction: ltr; unicode-bidi: embed }
*[DIR="rtl"] { direction: rtl; unicode-bidi: embed }
@media print {
h1 { page-break-before: always }
h1, h2, h3, h4, h5, h6 { page-break-after: avoid }
ul, ol, dl { page-break-before: avoid }
}

파이어폭스(FireFox)의 default CSS (windows xp) *|:-moz-any-link img, img[usemap], object[usemap] {
border:2px solid;
}
[dir=ltr] {
direction:ltr;
unicode-bidi:embed;
}
[dir=rtl] {
direction:rtl;
unicode-bidi:embed;
}
abbr:focus, acronym:focus, address:focus, applet:focus, b:focus, base:focus, big:focus, blockquote:focus, br:focus, canvas:focus, caption:focus, center:focus, cite:focus, code:focus, col:focus, colgroup:focus, dd:focus, del:focus, dfn:focus, dir:focus, div:focus, dl:focus, dt:focus, em:focus, fieldset:focus, font:focus, form:focus, h1:focus, h2:focus, h3:focus, h4:focus, h5:focus, h6:focus, hr:focus, i:focus, img:focus, ins:focus, kbd:focus, label:focus, legend:focus, li:focus, link:focus, menu:focus, object:focus, ol:focus, p:focus, pre:focus, q:focus, s:focus, samp:focus, small:focus, span:focus, strike:focus, strong:focus, sub:focus, sup:focus, table:focus, tbody:focus, td:focus, tfoot:focus, th:focus, thead:focus, tr:focus, tt:focus, u:focus, ul:focus, var:focus { outline:1px dotted invert; }
abbr[title], acronym[title] { border-bottom:dotted 1px; }
address { display:block; font-style:italic; }
area, base, basefont, head, meta, script, style, title, noembed, param { display:none; }
b, strong { font-weight:bolder; }
bdo[dir] { unicode-bidi:bidi-override; }
big { font-size:larger; }
blink { text-decoration:blink; }
blockquote { display:block; margin:1em 40px; }
blockquote[type=cite] { border-color:blue; border-left:solid; border-width:thin; display:block; margin:1em 0; padding-left:1em; }
body { display:block; margin:8px; }
canvas { -moz-user-select:none; }
caption { -moz-box-sizing:border-box; display:table-caption; text-align:center; }
center { display:block; text-align:0; }
col { display:table-column; }
colgroup { display:table-column-group; }
dd { -moz-margin-start:40px; display:block; }
frame { border:none!important; }
frameset { border:none!important; display:block!important; float:none!important; overflow:0; position:static!important; }
h1 { display:block; font-size:2em; font-weight:bold; margin:.67em 0; }
h2 { display:block; font-size:1.5em; font-weight:bold; margin:.83em 0; }
h3 { display:block; font-size:1.17em; font-weight:bold; margin:1em 0; }
h4 { display:block; font-weight:bold; margin:1.33em 0; }
h5 { display:block; font-size:.83em; font-weight:bold; margin:1.67em 0; }
h6 { display:block; font-size:.67em; font-weight:bold; margin:2.33em 0; }
hr { -moz-box-sizing:border-box; -moz-float-edge:margin-box; border:1px 0; display:block; height:2px; margin:.5em auto; }
hr[size=1] {
border-style:0 none none;
}
html, div, map, dt, isindex, form { display:block; }
i, cite, em, var, dfn { font-style:italic; }
iframe { border:2px inset; }
img[usemap], object[usemap] { color:blue; }
li { -moz-float-edge:margin-box; display:list-item; }
listing { display:block; font-family:0; font-size:medium; margin:1em 0; white-space:pre; }
marquee { -moz-binding:url(chrome://xbl-marquee/content/xbl-marquee.xml#marquee-horizontal); display:block; }
marquee[direction=up], marquee[direction=down] { -moz-binding:url(chrome://xbl-marquee/content/xbl-marquee.xml#marquee-vertical); height:200px; }
nobr { white-space:nowrap; }
noframes { display:none; }
ol { -moz-padding-start:40px; display:block; list-style-type:decimal; margin:1em 0; }
ol ol ul, ol ul ul, ol menu ul, ol dir ul, ol ol menu, ol ul menu, ol menu menu, ol dir menu, ol ol dir, ol ul dir, ol menu dir, ol dir dir, ul ol ul, ul ul ul, ul menu ul, ul dir ul, ul ol menu, ul ul menu, ul menu menu, ul dir menu, ul ol dir, ul ul dir, ul menu dir, ul dir dir, menu ol ul, menu ul ul, menu menu ul, menu dir ul, menu ol menu, menu ul menu, menu menu menu, menu dir menu, menu ol dir, menu ul dir, menu menu dir, menu dir dir, dir ol ul, dir ul ul, dir menu ul, dir dir ul, dir ol menu, dir ul menu, dir menu menu, dir dir menu, dir ol dir, dir ul dir, dir menu dir, dir dir dir { list-style-type:square; }
ol ul, ul ul, menu ul, dir ul, ol menu, ul menu, menu menu, dir menu, ol dir, ul dir, menu dir, dir dir { list-style-type:circle; }
p, dl, multicol { display:block; margin:1em 0; }
pre[_moz_quote=true] { color:blue; }
q:after { content:close-quote; }
q:before { content:open-quote; }
s, strike, del { text-decoration:line-through; }
small { font-size:smaller; }
spacer { float:none!important; position:static!important; }
span[_moz_quote=true] { color:blue; }
sub { font-size:smaller; line-height:normal; vertical-align:sub; }
sup { font-size:smaller; line-height:normal; vertical-align:super; }
table { -moz-box-sizing:border-box; border-collapse:separate; border-spacing:2px; display:table; margin-bottom:0; margin-top:0; text-indent:0; }
table > tr { vertical-align:middle; }
table[align=center] > caption {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table[align=center] > caption[align=left] { margin-right:0; }
table[align=center] > caption[align=right] { margin-left:0; }
table[align=left] { float:left; }
table[align=right] { float:right; text-align:start; }
table[rules]:not([rules=none]) {
border-collapse:collapse;
}
tbody { display:table-row-group; vertical-align:middle; }
td { display:table-cell; padding:1px; text-align:inherit; vertical-align:inherit; }
tfoot { display:table-footer-group; vertical-align:middle; }
th { display:table-cell; font-weight:bold; padding:1px; vertical-align:inherit; }
thead { display:table-header-group; vertical-align:middle; }
tr { display:table-row; vertical-align:inherit; }
tr > form:-moz-is-html, tbody > form:-moz-is-html, thead > form:-moz-is-html, tfoot > form:-moz-is-html, table > form:-moz-is-HTML {
display:none!important;
}
tt, code, kbd, samp { font-family:0; }
u, ins { text-decoration:underline; }
ul ul, ul ol, ul dir, ul menu, ul dl, ol ul, ol ol, ol dir, ol menu, ol dl, dir ul, dir ol, dir dir, dir menu, dir dl, menu ul, menu ol, menu dir, menu menu, menu dl, dl ul, dl ol, dl dir, dl menu, dl dl { margin-bottom:0; margin-top:0; }
ul, menu, dir { -moz-padding-start:40px; display:block; list-style-type:disc; margin:1em 0; }
xmp, pre, plaintext { display:block; font-family:0; margin:1em 0; white-space:pre; }
@media print {
blink { text-decoration:none; }
marquee { -moz-binding:none; }
}

파이어폭스(FireFox)의 quirks default CSS (windows xp) :not(dl) > dd { display:inline; margin:0; }
:not(dl) > dd:before { -moz-margin-end:40px; content:"\A "; display:inline; font-size:1px; line-height:0; white-space:pre; }
[_moz-rs-heading] { font-size:inherit!important; }
body > form:-moz-first-node, td > form:-moz-first-node, th > form:-moz-first-node, body > p:-moz-first-node, td > p:-moz-first-node, th > p:-moz-first-node, body > dl:-moz-first-node, td > dl:-moz-first-node, th > dl:-moz-first-node, body > multicol:-moz-first-node, td > multicol:-moz-first-node, th > multicol:-moz-first-node, body > blockquote:-moz-first-node, td > blockquote:-moz-first-node, th > blockquote:-moz-first-node, body > h1:-moz-first-node, td > h1:-moz-first-node, th > h1:-moz-first-node, body > h2:-moz-first-node, td > h2:-moz-first-node, th > h2:-moz-first-node, body > h3:-moz-first-node, td > h3:-moz-first-node, th > h3:-moz-first-node, body > h4:-moz-first-node, td > h4:-moz-first-node, th > h4:-moz-first-node, body > h5:-moz-first-node, td > h5:-moz-first-node, th > h5:-moz-first-node, body > h6:-moz-first-node, td > h6:-moz-first-node, th > h6:-moz-first-node, body > listing:-moz-first-node, td > listing:-moz-first-node, th > listing:-moz-first-node, body > plaintext:-moz-first-node, td > plaintext:-moz-first-node, th > plaintext:-moz-first-node, body > xmp:-moz-first-node, td > xmp:-moz-first-node, th > xmp:-moz-first-node, body > pre:-moz-first-node, td > pre:-moz-first-node, th > pre:-moz-first-node, body > ul:-moz-first-node, td > ul:-moz-first-node, th > ul:-moz-first-node, body > menu:-moz-first-node, td > menu:-moz-first-node, th > menu:-moz-first-node, body > dir:-moz-first-node, td > dir:-moz-first-node, th > dir:-moz-first-node, body > ol:-moz-first-node, td > ol:-moz-first-node, th > ol:-moz-first-node {
margin-top:0;
}
body > form:-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form:-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form:-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p:-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p:-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p:-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d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d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d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multico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multico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multico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blockquote:-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blockquote:-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blockquote:-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h1:-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h1:-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h1:-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h2:-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h2:-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h2:-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h3:-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h3:-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h3:-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h4:-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h4:-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h4:-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h5:-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h5:-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h5:-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h6:-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h6:-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h6:-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listing:-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listing:-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listing:-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plaintext:-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plaintext:-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plaintext:-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xmp:-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xmp:-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xmp:-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pre:-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pre:-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pre:-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u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u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u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menu:-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menu:-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menu:-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dir:-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dir:-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dir:-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body > o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d > o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th > ol:-moz-only-whitespace:-moz-first-node {
margin-bottom:0;
}
dl > dl { -moz-margin-start:40px; display:block; }
form { margin:0 0 1em; }
img[align=left] { margin-right:3px; }
img[align=right] { margin-left:3px; }
input:not([type=image]), textarea { -moz-box-sizing:border-box; }
input[type=image] { border:2px solid blue; }
input[type=image][disabled] { border-color:GrayText; }
li { list-style-position:inside; }
li > ul:-moz-first-node, li > ol:-moz-first-node { padding-top:1em; }
li ul, li ol, li dir, li menu { list-style-position:outside; }
li::-moz-list-bullet { font-size:0; }
map { display:inline; }
pre[wrap], pre[cols], pre[width] { white-space:0; }
table { font-size:0; font-style:0; font-variant:0; font-weight:0; line-height:normal; text-align:start; white-space:normal; }
td > form:-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form:-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p:-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p:-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dl:-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dl:-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multicol:-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multicol:-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blockquote:-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blockquote:-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h1:-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h1:-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h2:-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h2:-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h3:-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h3:-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h4:-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h4:-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h5:-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h5:-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h6:-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h6:-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listing:-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listing:-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plaintext:-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plaintext:-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xmp:-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xmp:-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pre:-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pre:-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ul:-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ul:-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menu:-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menu:-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dir:-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dir:-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d > ol:-moz-only-whitespace:-moz-last-node, th > ol:-moz-only-whitespace:-moz-last-node {
margin-top:0;
}
td > p:-moz-last-node, th > p:-moz-last-node { margin-bottom:0; }
ul ul, ul ol, ul dir, ul menu, ul li, ol ul, ol ol, ol dir, ol menu, ol li, dir ul, dir ol, dir dir, dir menu, dir li, menu ul, menu ol, menu dir, menu menu, menu li { list-style-position:inherit; }
위의 CSS 코드는 Code Beautifier와 드림위버 CS3에서 제공하는 “코드 포맷 정리” 기능을 이용해서 정리했습니다.
by Anna 안나 2008. 11. 16. 19:49
px * 0.0626 = em For instance,
15px * 0.0626 = 0.939em
80px * 0.0626 = 5.008em

px and pt, amongst others, are absolute values.
em is a relative value (I think).

Using a pt or em font-size property instead of px allows for your site text to be resized according to the viewer's system settings.(link) 웹디자인을 하면서 글꼴(폰트) 크기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pt, px, em, % 가 있다. 나는 이미지 사용이나 기존 테이블 레이아웃을 할 때의 습관으로 px 를 주로 사용하는 편이다. 하지만 해외 웹사이트의 대부분이 em 을 사용하며, 유동성 부분 때문에 em이 표준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REEDdesign 사이트에 이들 수치에 대한 비교표가 있다.

by Anna 안나 2008. 11. 16. 19:31
CSS에서 사용되는 글자(폰트)크가나 width, height 등 크기를 지정할 경우 사용되는 단위로 em / px / pt / % 가 있습니다. 대부분 px 단위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글자크기는 pt, px 둘 다 사용합니다.
pt, px 가 절대적인 크기를 em, ex, %는 상위 엘리먼트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웹브라우저에서 글자 크기를 변경시킬수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향상됩니다.
IE에서 글자크기를 보통으로 지정했을경우 최상엘리먼트 1em은 12pt, 16px와 같습니다.

http://riddle.pl/emcalc

Points Pixels Ems Percent 6pt 8px 0.5em 50% 7pt 9px 0.55em 55% 7.5pt 10px 0.625em 62.5% 8pt 11px 0.7em 70% 9pt 12px 0.75em 75% 10pt 13px 0.8em 80% 10.5pt 14px 0.875em 87.5% 11pt 15px 0.95em 95% 12pt 16px 1em 100% 13pt 17px 1.05em 105% 13.5pt 18px 1.125em 112.5% 14pt 19px 1.2em 120% 14.5pt 20px 1.25em 125% 15pt 21px 1.3em 130% 16pt 22px 1.4em 140% 17pt 23px 1.45em 145% 18pt 24px 1.5em 150% 20pt 26px 1.6em 160% 22pt 29px 1.8em 180% 24pt 32px 2em 200% 26pt 35px 2.2em 220% 27pt 36px 2.25em 225% 28pt 37px 2.3em 230% 29pt 38px 2.35em 235% 30pt 40px 2.45em 245% 32pt 42px 2.55em 255% 34pt 45px 2.75em 275% 36pt 48px 3em 300%
by Anna 안나 2008. 11. 15. 23:17
http://riddle.pl/emcalc/ 즐추하시고, 필요하실때 들르시면 더욱 좋습니다. 요즘 줌브라우징 기능으로 em을 자주 쓰진 않겠다고 생각하면 큰오산이죠.. 아직도 익스플로러 6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pt 단위는 절대적이지만, em은 상대적이고 상위엘리먼트와 하위엘리먼트에도 크기에 작은영향이 가는걸로 알고있는데요.ex) px 단위는 리플참고.. ㄱ- 죄송합니다. ㅎㅎㅎㅎㅎ em단위에 대해 모르신분들은.. em단위, em환산 이 키워드로 검색을 한번 해보시면 더더욱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도움이 많이 ?으면 좋겠군요.. 주의/ 혹시 em단위에 대해 모르시는 개발자분들이 햇갈릴 수 있으니 꼭 의견을 나누시고 em삽입 여부를 결정하시길..^^; - 웹뿐만하니라 온세상이 표준으로 통일하기 바라면서..
by Anna 안나 2008. 11. 15. 23:16
파일확장자
ifo

심슨
http://www.bittorrentshare.com/Series-TV-Shows/Simpsons/The-Simpsons-Complete-3rd-Season-DVD-1_398363.html
by Anna 안나 2008. 11. 15. 17:23
예제 : http://odyniec.net/projects/imgareaselect/examples.php
by Anna 안나 2008. 11. 15. 17:21